
“역시 편해요. 도쿄 접근성을 놓고 보면 나리타(成田)공항은 하네다(羽田)공항에 비할 바가 못돼죠.”
29일 오전 8시 40분 김포공항에서 출발한 아시아나항공 OZ1085편을 타고 하네다 공항에 도착해 일본에 입국한 류승훈(53)씨가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3월 이후 막혔던 서울 김포-도쿄 하네다 항공 노선이 2년 3개월여 만에 다시 열린 이날 한국발 첫 비행기 승객이었다.
류씨는 “도쿄 시내까지 하네다는 20∼30분이면 갈 수 있는데 나리타는 1시간은 걸리지 않냐”며 “하네다를 통해 당일치기 일본 출장도 가능했던 예전으로 빨리 돌아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국으로 건너가는 이들의 생각도 비슷했다. 형제들을 만나러 한국에 간다는 요코하마(横浜) 거주 70대 김말장(여)씨는 “집에서 공항까지 이동시간이 하네다는 나리타의 3분의 1정도”라며 “김포공항에서는 큰 부담 없이 택시를 타고 서울 시내로 들어갈 수 있다는 점도 노인에게 큰 장점”이라며 웃었다.
한국관광공사 도쿄지사 지원을 받은 일본 여행사 관계자들도 이날 하네다 공항을 통해 한국으로 출국했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2년 넘게 한국에 들어가지 못했다”며 “예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직접 확인해 한국 방문 프로그램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하네다 노선 재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한 축소된 한·일 인적교류 정상화 기대를 크게 높이는 것이기도 하다. 2018년 1000만 명을 넘으며 정점을 찍었던 양국 관광객 수는 2020년 91만여 명으로 크게 줄었고, 지난해에는 3만4000여 명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상황 호전에 따라 ‘한·일 비즈니스 등 인적교류의 핵심’으로서 김포-하네다 노선을 빨리 열어야 한다는 요구가 컸다. 강주용 아시아나항공 일본지역본부장은 “7월 말까지 비즈니스석 예약은 이미 꽉 차 있다”며 “노선 재개 발표가 불과 일주일 전이어서 오늘(29일) 승객은 많지 않지만 빠르게 늘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한·일 4개 항공사가 일주일에 두 번씩만 운행하도록 제한된 것도 개선돼 증편을 허용해야 한다는 요구도 강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