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회복세는 빨라…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율
유류세 37% 인하 조치…"7월 1일 즉시 되도록 업계와 협의"

6월 무역수지 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정부가 다음달 중으로 민관합동 수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해 수출 애로 요인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되는 유류세 37% 인하 조치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정유·주유업계와의 협의도 이어간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방 차관은 모두발언에서 “6월 들어서는 조업일수가 2일 감소하고, 화물연대 파업 등 일시적 요인이 겹치면서 수출이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무역수지 적자 폭도 다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방 차관은 다만 “화물연대 파업 종료 이후 수출이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조업일수 영향을 제외한 일평균 기준으로는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율을 지속하는 등 수출 모멘텀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확대될 수 있도록 다음달 중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으로 민관합동 수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해 품목별·지역별 수출 애로 요인이 없는지 살피기로 했다. 회의를 통해 금융·물류, 규제개선 등 지원방안도 다각도로 검토한다.

방 차관은 다음달 1일 시행되는 유류세 37% 인하 조치에 대해선 “정유·주유업계와 긴밀히 협의해 유류세 인하 즉시 정유사의 주유소 공급가격과 직영 주유소 판매가격을 인하하도록 하겠다”면서 “자영주유소도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가격을 인하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산업부와 공정거래위원회는 합동점검반을 구성, 정유업계의 담합 등 불공정행위를 점검할 예정이다.
정부는 밥상 물가 안정 차원에서 농축산물 수급·가격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평년보다 이른 추석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방 차관은 “가격 이상징후를 조기에 포착해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필수먹거리를 중심으로 일일 가격동향 점검을 실시하고,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수급·가격변동 우려가 있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비축물량 조기 방출과 함께 부족분 발생 시 긴급수입도 적극 검토한다.
정부는 상하수도 등 지방 공공요금은 하반기에 동결을 원칙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물가안정 우수 지방자치단체에는 특별교부세를 비롯한 인센티브도 줄 예정이다.
방 차관은 “고물가로 인한 민생의 어려움을 하루빨리 해소하는 것이 지금 경제팀에 주어진 가장 시급한 과제”라면서 “앞으로도 전 부처가 힘을 모아 물가안정 과제들을 추가 발굴하고 신속히 추진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최근 경제 상황을 고려해 이날을 기점으로 기존 경제관계차관회의를 비상경제차관회의로 전환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