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스트레스 많으니 자율주행”… 생체신호로 안전운전 돕는다

입력 : 2022-06-24 01:00:00 수정 : 2022-06-23 20:25:03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현대모비스, 차량 헬스케어 ‘스마트캐빈 제어기’ 첫 개발

탑승자 생체신호 측정 센서 탑재
자세·심박·뇌파 등 실시간 분석
위험할 땐 내비게이션 통해 경고
“음주운전 차단 등 기술로 발전”

‘움직이는 건강센터’ 진화 기대
글로벌 車업계도 기술개발 경쟁
심전도 센서, 운전자 모니터링 카메라, 멀미 저감 신기술 등을 탑재해 자율주행을 돕는 현대모비스의 콕핏시스템 엠빅스. 현대모비스 제공

운전자의 심장박동수를 분석해 스트레스가 많다고 판단되면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을 권고하는 등의 차량 헬스케어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미래 모빌리티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23일 현대모비스는 자세·심박·뇌파 등 생체신호를 통합 분석해 안전운전을 돕는 헬스케어 신기술 ‘스마트캐빈 제어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마트캐빈 제어기는 탑승객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와 이를 분석하는 제어기, 소프트웨어 로직으로 구성돼 실시간으로 변하는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센서는 탑승객의 자세를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3D 카메라, 운전대에 장착한 심전도 센서, 귀 주변에 흐르는 뇌파를 측정하는 이어셋 센서, 차량 내부의 온습도와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공조 센서로 구성된다.

모빌리티 분야에서 여러 생체신호를 통합 분석할 수 있는 헬스케어 전용 제어기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다.

각 센서가 탑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관련 정보를 제어기에 전달하면 제어기는 이를 분석해 위험 시 내비게이션이나 클러스터, 헤드업디스플레이(HUD)를 통해 경고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다고 판단하면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을 권유하고,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으면 창문을 개방하거나 외부 순환으로 변경하는 방식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이용해 향후 자동차가 ‘움직이는 건강검진센터’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앞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차량용 헬스케어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천재승 현대모비스 R&D(연구개발) 부문장 상무는 “현대모비스가 독자적으로 확보해 온 생체신호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멀미 예방, 스트레스 관리, 음주운전 차단 같은 다양한 기술로 발전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는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운전자의 건강 이상, 졸음, 음주 등의 위험요소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해 안전한 운전을 돕는 방향이다. 차량용 헬스케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향후 자율주행차 시대가 본격화하면 탑승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적절한 휴식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프리시던스리서치는 전 세계 차량용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이 2019년 11억8000만달러에서 2027년 100억8700만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아는 카메라와 초음파, 레이더 센서 등을 통해 안면근육, 심박수 등 신체의 여러 곳을 동시에 읽어 내는 멀티모달 기술을 개발했다.

토요타 차량에는 스티어링 휠에 있는 심박 측정 센서로 심전도 이상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휴식이나 의료조치를 하도록 알리는 기능이 있다. BMW도 스티어링 휠에 심박 측정 센서를 탑재해 운전자의 심박수와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거나 접촉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포드는 심전도 센서가 장착된 운전자 시트를 이용해 운전자가 블랙아웃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차량을 제어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엔믹스 규진 '시크한 매력'
  • 나나 '매력적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