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번 지방선거는 지역 청년 정치인들의 무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6-23 10:44:43 수정 : 2022-06-23 10:44:42
창원=강승우 기자 ksw@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부산경남미래정책, 선거마다 소모되는 청년 정치 지적
“청년할당제 등 도입해 청년 정치인 등용 꾀해야”
장종하 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의원.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선거 때마다 지역 청년 정치인들이 이용만 당하고 버려지는 ‘토사구팽’ 처지라며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과 경남지역의 문서·지방예산 분석 전문 시민단체인 ‘부산경남미래정책(미래정책)’은 23일 “지난 6월 1일 치러진 지방선거는 과정과 결과 모두 지역 청년 정치인들의 무덤이었다”고 쓴소리했다.

 

미래정책이 집계한 최근 세 차례 지방선거 결과를 보면 경남지역 20대와 30대 청년 당선자는 △2022년 14명 △2018년 13명 △2014년 5명에 불과하다.

 

반면 부산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20대·30대 청년 당선자가 38명이나 나왔다. 2018년에는 18명, 2014년에는 33명으로 줄곧 경남보다 많았다.

 

전체 당선자 중 20대·30대 당선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더라도 경남은 부산보다 훨씬 낮다.

 

이번 선거에서 부산지역 총 당선자는 245명으로 이 중 20대·30대 당선자 비율은 15.5%다.

 

경남은 총 당선자가 352명으로 부산보다 107명이나 많지만 20대·30대 당선자 비율은 3.98%에 불과하다.

 

미래정책은 “역대 선거에서 경남지역 전체 당선자 대비 20대·30대 당선자는 1~3%대 수준으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15%대 20대·30대 당선자를 낸 부산과 비교하면 경남 청년 정치는 초라한 성적표”라고 지적했다.

이재환 전 국민의힘 경남도당 대변인. 사진 오른쪽 네 번째.

미래정책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경남 청년 정치인 증대를 막고 있다며 자당 소속 간판 청년 정치인마저 ‘소모성 제품’으로 취급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미래정책은 함안군수 선거 공천 과정에서 단수 후보인데도 경선을 강요받은 장종하(38) 전 경남도의원, 창원특례시장 선거에서 원팀(One team) 선언으로 경선‧본선 승리를 이끌고도 인수위부터 배제된 이재환(42) 국민의힘 경남도당 전 대변인, 선당후사(先黨後私‧개인의 안위보다 당을 위해 희생한다)로 경남도지사 선거 출마를 자처한 신상훈(33) 경남도의원을 구체적 사례로 들었다.

 

이와 관련 장 전 도의원은 “어려운 시기에, 어려운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하면 적극적으로 도와줘야 하는 게 당의 역할이 아닌가 싶은데 희생하겠다는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기는커녕 후보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무적 판단이라는 명분 아래 공정한 룰이 아닌 마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한 것처럼 후보가 결정돼서는 안 된다”면서 “앞으로도 이런 일은 발생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전 대변인은 인수위 구성 등과 관련해 당선자에게서 연락받은 것이 있냐는 질문에 “사전에 연락받은 것도 없고 언론보도를 통해 알았다”고 답했다.

 

신 도의원은 이번 선거가 지역 청년 정치인들의 무덤이었다는 지적에 대해 “이번 선거에서 제가 가진 최연소 도의원 기록이 깨지길 기대했는데 그렇지 못해 아쉽다. 청년 정치만 놓고 보면 결과가 아쉬운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에 미래정책은 “양당이 지역 간판 청년 정치인조차 지키지 않고 다른 지역에서 이적 출마한 청년의 당선을 만드는 등 지역 청년에게 박탈감만 안기고서 지역을 바꾸라고 요구할 수 있느냐”고 비판했다.

신상훈 더불어민주당 경남도의원.

신 도의원은 “저 같은 경우 경남지사 후보로 출마하면서 지역위원장들의 지지를 받은 후보님과의 당내 경선에서 불과 0.14%포인트 차이로 졌다. 세대교체를 원하는 당원과 도민의 기대에 역행하는 게 아닌가 싶다”며 “이번 당내 경선을 통해 젊은 사람이 감히 도지사에 도전을 한다는 선입견이 드러났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미래정책은 ‘청년할당제’ 등을 도입해 청년 정치인의 적극적 등용을 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제의회연맹(IPU) 소속 150개국 중 21대 국회 기준 45세 미만 국회의원이 6.3%로 최하위 수준인 143위를 기록했다.

 

스웨덴은 35세 미만 청년에게 의석 25%를 할당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10대‧20대 의원이 의석 12.3%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핀란드는 모든 정당이 15~29세 대상 청년 조직을 운영하며 20대부터 지방선거에 도전하거나 진출하고, 30대에 장관직을 수행하기도 한다고 했다.

 

안일규 미래연대 사무처장은 “지방의원으로 시작해 핀란드 역사상 최연소인 34세에 총리가 된 산나 마린은 우리나라 양당이 청년 정치인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보여주는 사례”라며 “양당은 청년을 기성세대의 권력 획득 및 유지를 위한 도구로 보는 악습부터 철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원=강승우 기자 ks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