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이 올여름 휴가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의 출발선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6월 말부터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는 만큼 재유행 위험성은 한층 높아졌다.
뉴스1에 따르면 여름 휴가철 재유행을 촉발할 세 가지 위험요인으로는 휴가철 인구 대이동과 밀접접촉, 냉방기기 사용에 의한 추가 감염, 실외 노마스크 등 방역 긴장감 완화가 꼽힌다.
당국은 그간 수차례 여름 재유행을 경고했지만, 최근 들어 특히 발언 수위가 세지고 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전날(22일) 회의에서 "올해 여름은 코로나19 재유행 도화선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며 "다수 전문가들은 올해 7~8월 이후 재유행이 올 것으로 예측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올해 4월 18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 처음으로 맞이하는 여름"이라며 "휴가철 이용객이 밀집된 카페와 백화점, 리조트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다수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여름 재유행 최대 위험요인은 여름 휴가철 인구 대이동이다. 휴가 기간에는 하루에도 수십만명이 전국을 오가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한층 높아진다. 지난해도 여름 휴가철 1만명대이던 신규 확진자가 8월부터 2만명대로 증가한 뒤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도 유사한 상황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
여름 휴가철에는 해수욕장 등 관광지에 사람이 몰린다. 실외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밀접접촉에 의한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당국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국민과 업소 관계자들이 지켜야 할 안전수칙을 발표했다. 우선 해수욕장 등 휴양지에서는 실내 다중이용시설 마스크 착용 의무를 유지한다. 야외에서도 마스크 착용을 권고했다. 혼잡도 신호등제를 통해 해수욕장 혼잡도를 실시간 제공한다.
냉방기기 사용도 감염 위험을 높인다. 더위를 피하기 위해 장시간 사용하는 에어컨은 방역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3밀(밀접·밀폐·밀집) 환경이 조성돼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기 때문이다.
특히 에어컨이나 선풍기, 그 밖의 공기 흐름을 바꿀 수 있는 환경에 의해 비말(침방울)이 먼 거리로 전파될 수 있다.
방대본 관계자는 "날씨가 무더워지는 하절기에는 에어컨 사용 시간이 증가해 환기가 미흡해질 우려가 있다"며 "밀폐된 실내 환경에서는 맞통풍 등 자연환기를 강화해야 한다. 예방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대본이 2020년 5월에 발표한 에어컨 사용지침을 보면 실내 공기 순환을 줄여 비말 확산을 최소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에어컨을 사용할 때 바람이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바람세기를 낮춘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동시에 사용할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 선풍기 바람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순환하고, 비말이 멀리 퍼질 수 있다. 따라서 선풍기를 사용할 때도 바람세기를 낮춰야 한다. 에어컨을 사용할 때는 창문을 닫고 사용하되, 최소 2시간마다 1회 이상 환기한다. 환기는 최소 15분 이상이 좋다. 환기가 불가능한 밀폐시설에서는 실내 이용자 전원이 마스크를 착용한다.
지난해와 달리 실외 노마스크 정책을 시행하는 등 방역 긴장감이 풀린 것도 숙제다. 방역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을 가장 우려한다.
여름 재유행을 막으려면 실외와 실내를 가리지 않고 마스크 착용이 필수다.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도 잘 지켜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여름 재유행이 시작되고, 신규 확진자도 하루 10만명을 넘어설 수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3~4차 접종률이 높지 않고, 전국민 예방접종 이후 시간이 흘러 면역력이 크게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새로운 변이가 나온다면 여름 재유행 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미리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