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산업 현장 봤다면 탈원전 결정했을지 의문"
"5년 동안 무너진 원전 산업 회복 위한 정책 계획"

“5년간 바보 같은 짓 안 하고 원전 생태계 구축했다면 경쟁자가 없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탈원전 정책을 벗어나 원전수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22일 오전 경남 창원시 원자력 발전 설비 업체인 두산에너빌리티를방문해 “더 키워나가야 할 원전 산업이 수년간 어려움에 직면해 아주 안타깝고,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우리 원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예산에 맞게 적기에 시공하는 능력인 ‘온 타임 온 버짓’은 전 세계 어느 기업도 흉내 낼 수 없는 우리 원전 기업의 경쟁력”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 경쟁력은 하루아침에 만든 게 아니라 여기 계신 여러분이 원전 산업의 생태계를 수십 년에 걸쳐 탄탄히 구축한 결과”라며 “탈원전을 추진했던 관계자들이 여의도보다 큰 면적의 이 어마어마한 시설을 다 보고, 이 지역의 산업 생태계와 현장을 둘러봤다면 과연 그런 의사 결정을 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신한울 3·4호기 원자로 주단 소재(원자력 압력 용기를 만드는 단조 금속 소재), 신고리 6호기 원자로 헤드(윗부분), 1만7000t(톤) 규모의 프레스 설비가 있는 단조 공장 등을 둘러봤다.

대통령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현장 방문은 원전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원전 수출을 통해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를 실현하는 과정 중 하나”라며 “최근에는 원전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를 구성·운영해 산업부를 중심으로 관련 부처, 기관들과 원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문재인 정권 5년 동안 무너진 우리나라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맞춤형 원전 수주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민·관 합동 컨트롤 타워인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설립했다. 또 재생에너지 비중을 20%대로 낮추는 대신 중국 등 외국산 부품이 장악한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국산 부품의 점유율 확대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발주국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고 차별화된 수출 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설치해 원전 및 관련 산업의 해외 진출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