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 대북 굴종 정책, 北 기 살리고 북핵 위험만 고도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21일 "여러 매체를 통해서 당내 갈등 상황이 노출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 인사말에서 이같이 말하며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서 매우 착잡하고, 무겁게 느낀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사례를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하루 앞으로 다가온 이준석 대표의 '성 상납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을 둘러싼 윤리위 징계 논의를 비롯해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 추천 건 등을 둘러싼 최고위 내홍 상황 등에 대한 언급으로 풀이된다.
권 원내대표는 "국민께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우리에게 승리를 안겨주신 것은 우리가 예뻐서 또는 우리가 잘나서, 잘해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지난 정권과는 달리 국민 눈높이에서 민생을 잘 챙기고 유능함을 보이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모두 민심을 정말 두려워해야 한다"며 "애써 쌓아 올린 국민적 신뢰가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우리 모두가 가져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의총 연사로 초빙한 박진 외교부 장관을 소개하며 "앞으로 우리는 지난 정권에서 무너진 외교·안보의 기틀을 다시 세우고, 유능한 외교, 튼튼한 안보 정책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행히 윤석열 정부 들어서 미국과의 동맹관계가 복원되고 강화됐다고 평가를 하고 있다. 일본과의 관계, 중국과의 관계도 진전된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그 중심에 박진 장관이 계시기 때문에 그런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데 확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대북 이슈와 관련해서도 "문재인정권에서 외교·안보 문제는 경제만큼이나 크게 위협을 받았다"며 "종전선언에만 목을 맨 대북 굴종정책은 북한의 기만 살려줬다. 평화가 오기는커녕 미사일·북핵 위험만 고도화시켰다"고 비판했다.
특히 2020년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과 2019년 탈북선원 북송사건 등을 "문재인정권의 대표적인 외교·안보 참사"라고 꼽으며 당내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한 진상규명 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