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수처장 "검찰 출신 검사 필요…檢과 협의체 있어야"

입력 : 2022-06-21 14:06:51 수정 : 2022-06-21 14:06: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우리도 이슈 있는데 채널 아직 없어"
인력 문제 재차 호소 "검찰 출신 필요"
"밀접 관계자 수사 부담되면 배당 고려"
인권감찰관 대통령실 검증…"빨리 와야"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처장. 연합뉴스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검찰총장 임명 이후 검찰과 협의체 구성에 대한 대화를 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김 처장은 21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검찰과의 협의체 구성 여부에 대해 "현재는 없는데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처장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검·경 협의체와 관련해 "검찰과 경찰은 확실히 이슈가 있다"며 "(경찰청법 및 형사소송법 개정안) 법 통과에 따라 후속적으로 검·경 간 조정 차원에서 진행되는 걸로 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이슈가 있는데 채널이 없다는 실무적인 애로사항이 있다"며 "현재 검찰 총수가 부재 중"이라고 했다.

 

김 처장은 이날 공수처의 인력 문제를 호소하면서 검찰 출신 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현재 모집 중인 '공수처 검사'와 관련해 "검찰에 계시거나 검찰의 경험이 있는 분들이 지원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진=뉴시스

이어 "인지사건 경험은 검찰에서 70년 동안 경험이 있지 않나. 특수, 공안 등 인지사건을 해본 분들이 경험이 많아 수사를 잘한다"면서 "인지사건 수사를 해보신 분, 부장의 경우 인지사건 수사를 지휘해보신 분들이 많이 지원했으면 좋겠다. 그래야 공수처가 자리잡는 데 도움이 되겠다"고 했다.

 

김 처장은 검찰 출신의 공수처 검사 지원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 원인을 '친정' 수사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라고 봤다.

 

그는 "검찰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사람을 직접 피의자로 수사하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다"면서 "부서 배당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김 처장은 현재 공석인 인권감찰관 채용과 관련해서는 "지난 1, 2차 모집 때에는 못 뽑았고 이번이 3차 시기"라며 "저희 사람이지만 인사혁신처가 선발 주체이고, 3월 중 저희 손을 떠나 대통령실에서 검증 중"이라고 했다.

 

이어 "빨리 왔으면 좋겠다"면서 "그간 (공수처 수사와 관련해) 인권 지적이 있지 않았나. 인권감찰관이 하루라도 빨리 와서 인권과 관련된 공수처 업무가 좀 더 강화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