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다소비 시설→에너지순공급 시설
“40만가구 사용 규모 에너지 순공급 전망”

정부가 하수처리시설, 정수장, 댐 등 환경시설 내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30년까지 3배 가까이 늘리기로 했다. 한해 석탄발전소 2기 전력 생산량을 쓸 정도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이들 시설을 1000GWh(기가와트시) 규모 이상의 에너지 순공급 시설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방안(로드맵)’을 21일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3264GWh인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5764GWh로 확대한다. 이는 4인 가구 기준으로 연간 138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 규모다.
2030년 목표 생산량은 8762GWh로 잡았다. 이는 지난해 생산량 대비 2.7배에 이르는 양이다.
현재 전국 환경시설은 1341곳이다. 이 중 ▲음식물 등 폐자원처리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이 110곳 ▲광역 정수장 43곳 ▲지자체 운영 정수장 473곳 ▲500t 이상 공공 하수처리시설 678곳 ▲댐 37곳이다.
이들 시설은 정수·하수처리 과정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양이 총 7625GWh(2021년 기준)에 달해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되고 있다.
로드맵대로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순차적으로 늘려나가 2030년이 되면 생산량이 소비량을 넘어서는 에너지 순공급 생산시설로 전환될 것이라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이번에 발표한 2030년 목표를 달성할 경우 환경시설의 에너지 순공급량은 한해 1137GWh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약 40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양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환경부는 환경시설 에너지 생산 설비용량을 이번 정부 임기 내인 2026년까지 현재(총 1.57GW) 대비 약 2배 수준인 3GW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에 국고를 우선 지원해 현재 110곳 수준인 생산시설을 140곳까지 확대한다.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연간 3억6000만N㎥(온도 0도·1기압 상태의 1㎥ 기체량)에서 5억N㎥까지 늘린다.
이는 국내 도시가스 공급량(지난해 기준 약 250억N㎥)의 약 2% 수준으로, 연간 1812억원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탄도 줄일 수 있어 2026년까지 온실가스를 연간 110만t을 추가 감축할 수 있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바이오가스는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 유기물이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만들어지는 가스를 뜻한다. 보통 메탄이 50∼65%, 이산화탄소 25∼50%, 소량의 수소·황화수소 등으로 구성된다.
환경부는 바이오가스 주성분인 바이오메탄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지원사업도 계속 확대한다. 현재 2곳인 바이오 그린수소 생산시설(전주 음식물바이오가스화시설·창원 하수처리시설)을 최대 5곳까지 단계적으로 늘리기로 했다.
발생량이 많으나 기술 부족으로 활용이 저조한 동·식물성 잔재물 에너지화 기술 개발도 민간기업과 추진한다. 앞으로 5년간 총 428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동·식물성 잔재물은 식품 제조과정 등에서 나오는 잔재물로 전국 음식물류 폐기물 3분의 1에 달하는 양이라고 한다.
정수장과 하수처리시설, 댐 등 물관리 환경시설 대상으로도 에너지 설비투자 2배 가까이 늘린다. 2026년까지 에너지 생산가능 설비용량을 총 2.9GW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목표 달성시 연간 4800GWh를 생산해 4735억원의 전력 대체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2026년까지 온실가스 연간 70만t를 추가 감축할 수 있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수상태양광의 경우 모듈 효율 향상, 시공 기술 개선 등으로 동일 면적당 에너지 생산효율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라 약 1.1GW까지 설비용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물 온도차를 이용하는 수열·하수열 에너지는 하천수와 전국에 산재한 상·하수 관로로 2026년까지 0.3GW 이상 추가 확대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물 낙차 이용하는 소수력발전은 하수처리시설, 정수장, 댐 등 총 9곳에 추가 설치해 에너지자립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