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 50%, 국민 50% 전당대회 룰 변경 강조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이 “정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는 이재명 의원의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당원이 아닌 국민의 민심을 반영하는 제도적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2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민주국가에서 정당은 국민의 것입니다’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리고 이 의원의 발언이 “어떤 의도든 변화와 혁신을 거부하는 낡은 인식이고 낡은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우리 당의 지도부 선출방식은 권리당원과 대의원이 무려 85%나 반영되면서 계파의 힘이 강하게 작용한다”며 “계파정치가 과대대표돼 자칫 민심과 괴리된 지도부가 선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계파중심 정당’이 아니라 ‘국민중심 정당’으로 변화해야 한다”며 “당심과 민심의 괴리로부터 벗어나야 민주당은 민심의 너른 바다를 향해 다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당원 50%, 국민 50%’로 전당대회 룰을 변경해야 한다고 지속해서 주장해왔다.
박 의원은 ‘민주국가에서 정당은 특정세력이 아닌 국민의 것이다. 정당은 국민의 그릇이라 물을 담으면 물그릇,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된다’는 이 의원의 과거 발언을 인용하며 “의원님 말씀대로 정당은 당원의 것이면서 또한 국민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심을 외면한 정당은 결코 민주국가의 정당일 수 없다. 우리 당의 혁신은 민주당이란 그릇에 더 많은 국민의 뜻이 함께 담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룰 변경에 반대하는 목소리에 대해선 ‘소탐대실’이라며 “유불리를 따져보고 변화를 외면하는 목소리”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이 의원을 비롯한 우리 모두가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작은 유불리 따지지 말고 혁신의 길로 함께 나아가길 촉구한다”며 민심을 최소 50% 반영하는 제도적 변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의원은 지난 18일 자신의 지역구인 인천 계양구에서 지지자들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계양산 둘레길을 걷는 행사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 의원은 “정당의 주인은 당원이고 나라의 주인은 국민”이라며 “너무도 당연한 이 원칙이 관철되지 않는 것은 정말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 이것이 큰 원칙”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 의원 자신에게 유리한 권리당원 반영 비율 강화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