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6%P 높아
“美경제 이미 침체 진입 볼 수 있는 수치”
옐런 재무 “경기침체 피할 수 있다” 강조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 직후인 지난 16∼17일(현지시간) 이코노미스트 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향후 12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올 확률’에 대한 답변 평균치가 44%로 집계됐다고 19일 보도했다.
WSJ는 이는 관련 설문조사를 시작한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미국의 경제가 이미 경기침체에 진입했거나 그 직전에나 볼 수 있는 수치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됐던 2007년 12월에는 ‘12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는 응답이 3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20년 2월에는 26%였다고 설명했다. WSJ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하게 유지되고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점점 더 공격적인 조치를 취하면서 경기침체 가능성이 급속히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대출금리 인상, 글로벌 공급망 차질,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도 원인으로 꼽았다.
설문에 응한 이코노미스트들은 올해 말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연간 상승률 전망치로 평균 6.97%를 전망했다. 4월 조사 결과인 5.52%보다 1.45%포인트나 상향 조정됐다. 지난 4월 조사에서 2.014%로 집계됐던 연준의 올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도 이번 조사에서는 3.315%로 껑충 뛰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경기침체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ABC방송에 출연해 “경제가 안정적 성장기로 이행하며 둔화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경기침체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옐런 장관은 또 “미국의 노동 시장은 2차 대전 이후 가장 강력하다”며 “조만간 인플레이션의 속도가 둔화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백악관 경제사령탑인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이날 CBS와 폭스뉴스에 나와 “많은 사람이 미국 경제의 강점과 회복성을 낮게 평가하는 것 같다”고 경기침체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16일 AP통신과 인터뷰에서 “경기침체가 불가피한 일은 아니다”라며 “우리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인플레이션을 극복할 강력한 위치에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