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0.75%p 금리 추가 인상 지지'…연준서 인플레 강경 대응 목소리

입력 : 2022-06-20 14:57:02 수정 : 2022-06-20 14:57:0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월러 "연준, 물가 안정에 올인"…메스터 "인플레, 2년 뒤에나 2%로 낮아질 것"
보스틱 "물가 안정 위해 무엇이든 할 것"…연준 "무조건적 노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 EPA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에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연준 인사들이 물가에 대해 강력 대응을 강조하는 발언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전날 댈러스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해 경제지표가 예상대로 나올 경우 다음 달 0.75%포인트 인상을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40년 만에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상황에서 "연준은 물가 안정을 회복하는 데 '올인'하고 있다"는 게 월러 이사 설명이다.

그는 "무엇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지는 상관없지만, 너무 높다. 이를 낮추는 게 내 일"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전 영역의 수요에 하방 압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40년간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본 적이 없는데, 이게 우리가 걱정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경기후퇴 우려에 대해서는 "다소 과장됐다. (성장률이) 6∼12개월간 기존 성장추세를 밑돌아야 하겠지만 이는 괜찮다"면서 실업률은 4.0∼4.25%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연준이 한 번에 1%포인트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시장이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러한 발언은 연준이 지난 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8년 만에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한 데 이어 나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AFP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달에 이어 다음 달에도 같은 폭의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예고하면서 '물가 잡기' 총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

한편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19일 CBS 방송과 인터뷰에서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 2%에 대해 "인플레이션이 즉시 2%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목표 도달에) 2년 정도 걸리겠지만 (물가 상승률은)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4월 8.3%, 5월 8.6%로 약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목표 2%를 한참 웃도는 상황이다.

연준이 물가를 잡았다고 확신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증거'가 필요할 거란 게 메스터 총재의 판단이다.

그는 성장이 기존 성장추세보다 살짝 낮게 둔화하고 있지만 경기후퇴는 예상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반복하면서도, 연준이 금리 인상 시기를 놓치면서 경제에 타격이 있었다고 봤다.

이어 "통화정책이 실제보다 좀 더 일찍 (긴축으로) 선회할 수 있었다. (시기를 놓치며) 경기후퇴 위험이 일부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연준은 또 지난 17일 의회에 보낸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물가안정을 위해 '무조건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로 알려진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이날 라디오프로그램에 출연해 "(물가 상승률을 2%로 낮추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