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는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주요 시설, 지역 동향을 면밀히 추적 감시하고 긴밀한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모든 가능성에 대해 확고한 대비 태세를 유지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조중훈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핵실험 준비 상황에 대해 이같이 말하면서 “구체적인 동향 등은 군사적 사항에 해당하기 때문에 통일부 차원에서 추가로 확인해 드릴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또 북한 핵실험이 장마 등 기상 상황 영향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서 “북한의 핵실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적 요인과 관련된다”며 “통일부 차원에선 자세한 답변을 드리기가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7차 핵실험 준비를 사실상 마친 것으로 보여진다.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 복구 움직임에 이어 최근엔 4번 갱도 관련 활동 동향이 언급되면서 연쇄 실험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또 조 대변인은 북한의 식량 부족량에 대해 “북한의 식량 부족량은 보통 80만t 내외로 추정하고 있다”며 “우리도 최근 강수량이 예년보다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북한도 비슷한 상황일 것”이라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북한의 식량 부족은 만성적이고 구조적인 문제, 대외 봉쇄 지속에따른 곡물이나 농원 물자의 외부 도입량의 축소, 가뭄 등 자연재해 극복 노력 등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현재까지 북한이 6월 곡물 수확이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통일부는 유관 기관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북한의 식량 부족 상황에 대해 긴밀한 관찰 및 분석을 해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