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올해 하천·하구 쓰레기 5만t 가까이 발생 예상”… 장마 전 집중수거 추진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환경팀

입력 : 2022-06-19 12:10:00 수정 : 2022-06-19 11:29:21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4일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지난해 정화주간 중 3600t 수거
“하천·하구 유입되면 수거 어려워”
2020년 경기도수자원본부 관계자들이 장마철 경기도 광주 팔당호에 떠내려온 쓰레기 등 부유물을 수거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모습이다. 환경부는 장마철이 다가옴에 따라 하천·하구변 쓰레기 정화주간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올해 하천·하구 쓰레기가 5만t 가까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가운데 다가오는 장마철 하천·하구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하천·하구변 쓰레기 집중 수거에 나선다.

 

환경부는 해양수산부,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함께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주간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정화활동 대상지는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등 5대강 유역 지류·지천을 포함한 전국 주요 하천, 하구, 연안 등이다. 대청댐, 충주댐 등 34개 댐(다목적댐 20개·용수전용댐 14개) 상류와 농업용 저수지 3420곳도 포함된다.

 

참여기관은 하천에 유입돼 바다까지 흘러갈 우려가 있는 플라스틱·스티로폼·유리병 등 생활폐기물 등을 집중적으로 수거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올해 하천·하구 쓰레기 발생 예상량을 4만8833t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를 포함해 앞으로 4년간 발생 예상량은 총 27만5853t으로 추정된다. 

 

조만간 제주 지역을 시작으로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쓰레기가 하천·하구에 다량으로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주간은 2018년부터 매년 운영 중이다. 지난해에는 6월14∼20일에 운영돼 생활쓰레기 약 3600t을 수거했다. 환경부는 올해도 비슷한 양이 수거될 것이라 보고 있다. 다음달 실제 추진실적에 대한 분석 작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류연기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쓰레기가 하천·하구로 유입되면 수거가 어렵기 때문에 장마철 전에 선제적으로 수거하는 게 환경보전에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