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부 "투자 부진·수출 증가세 약화"… 더 어두워진 경기 진단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6-17 11:00:00 수정 : 2022-06-17 11:10:18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재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 발간
올해 들어 처음으로 ‘경기 둔화 우려’ 표현

정부의 최근 경기 진단은 한층 어두워졌다. 정부가가 발간하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은 부진과 약화, 하방 위험 등 부정적 단어로 채워졌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6월호’에서 “대외 여건 악화등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 부진, 수출 증가세 약화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정부가 그린북에서 ‘경기 둔화 우려’라는 표현을 쓴 건 올해 들어 처음이다. 수출 회복과 투자 부진에 대한 우려에서 한발 더 나아가 우리 경제 전체가 둔화할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을 나타낸 셈이다.

 

실제 지표상으로도 수출, 투자 등에서 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경제의 핵심 동력인 수출은 지난달 21.3% 증가했지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10.7% 늘어나 4월(15.3%)보다 증가세가 둔화했다. 설비투자는 지난 4월에 전월보다 7.5% 줄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두 달 연속 하락했고 앞으로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개월 연속 내려가 경기가 하강 국면으로 들어서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글로벌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된 점도 부담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기관들은 잇따라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정부는 세계 경제의 변동성을 고려해 전날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1%에서 2.6%로 내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로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물가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다만, 고용 회복세가 이어진 점은 긍정적 요인이다. 지난달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93만5000명 늘어 2000년(103만4000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을 나타냈다.

 

정부는 “비상 경제 대응 체제 전환 등 물가·민생 안정과 거시경제·리스크 관리에 총력 대응하겠다”며 “저성장 극복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의 주요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