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에 대한 선거 책임론이 2선 후퇴론으로 거세게 옮겨붙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초·재선 의원들이 각자 진행한 선거 평가에서 '이재명 책임론'이 공개적으로 분출되자 친문계 일각에서는 여세를 몰아 이 의원의 8월 전당대회 불출마를 촉구하는 내용의 연판장도 만지작거리고 있다.
수적 우위를 앞세운 압박 전술로 이 의원의 당권행을 저지하겠다는 것이다.
한 친문계 의원은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초·재선에서는 이 의원이 전대에 나오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며 "특히 재선 그룹 내에서는 최악의 경우 연판장을 돌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적어도 80명의 서명은 받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반이재명계 내부에서도 연판장 카드는 '무리수'라는 의견이 적지 않아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당권 경쟁이 계파 간 진흙탕 싸움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 의원이 당권을 쥐면 연판장 서명자에 대한 공천 불이익이 가해질 것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연판장은 애초 고려했던 옵션 중 하나이기는 하지만 당장 이렇게 하자고 결의된 부분은 아니다"라며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도 적지 않아 고민 중"이라고 했다.
범친문계의 파상공세에 정면 대응을 자제해 온 친이재명계의 불만도 서서히 임계치에 다다르는 분위기다.
이재명계 핵심 인사는 통화에서 비이재명계를 향해 "지방선거에서도 이재명이 나서니 그 정도라도 한 것"이라며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그런 주장은 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그는 이 의원을 둘러싼 2선 후퇴론에 대해서도 "누구를 콕 찍어 당 대표에 나오지 말라고 하는 것이 민주적 정당에서 가능한 이야기냐"며 "당원과 지지자 대부분은 이재명만이 당을 혁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혁신하지 말자는 것이냐"고 했다.
친이재명계는 세대 교체론을 등에 업은 당내 '97(1990년대 학번·70년대생) 그룹'에 대해서도 사실상 범친문계 대리인 아니냐는 의구심을 여전히 지우지 않고 있다.
한 친이재명계 의원은 "이재명이 안 나오면 친문 전해철, 홍영표도 안 나온다는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면서 "친문이 고분고분 말 잘 듣는 초재선을 당 대표로 세우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97그룹 주자들이 대거 포진된 재선 의원들은 이날 비공개 모임을 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이들은 당내 최대 이슈로 떠오른 강성 당원의 '팬덤 정치'에 대해 반대입장을 밝히는 한편 소위 ‘문자 폭탄’ 등 배타적 팬덤 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디지털 윤리강령 제정을 비대위에 요청하기로 했다.
이 의원 지지자들이 주로 강성 당원이라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재선 의원들의 결의가 사실상 그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재선 대표로 비대위에 합류한 박재호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 너무 빨리 자주 (외부에) 보이면 당내 갈등만 더 조장될 수 있다”며 “이 의원도 이제는 좀 결단을 해야 할 것 같다"며 사실상 이 고문의 전대 불출마를 압박하기도 했다.
전대 출마를 고심 중인 한 재선 의원은 "소위 세대교체론에는 계파 정치를 청산하라는 명령이 담긴 것 아니냐"며 "이 의원을 포함해 유력 주자들의 출마 여부와 상관없이 고민하고 결단하겠다. 내부 단일화는 나중의 문제"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