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제 탱크 센서 비정상 수치
조립동으로 이송 원인 분석·보완”

16일로 예정됐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가 기체의 기술적 문제로 무기한 연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에 대한 발사 전 점검을 하던 중 발사체에 이상이 발견됨에 따라 발사를 취소하기로 했다.
항우연은 언론 브리핑에서 “산화제 탱크 내부의 레벨 센서가 비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오후 2시5분쯤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기립 상태에서 접근해 확인이 어려워 현 상태로는 발사 준비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발사관리위원회에 보고한 결과 발사체 조립동으로 이송해 점검하기로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레벨 센서는 산화제탱크 내 산화제 충전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다. 발사일에 산화제를 충전하면서 수치를 체크해야 하는데 이 센서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은 것이다. 항우연 연구진은 레벨 센서 이상 원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누리호는 발사체 조립동으로 옮겨져 문제의 정확한 원인 분석과 보완 작업을 거치게 된다. 상세한 점검을 통해 조치가 완료되면 다시 발사관리위를 통해 발사일이 정해지게 된다.
항우연은 예정일에 발사가 이뤄지지 않을 것에 대비해 오는 23일까지를 예비 발사 예정일로 지정하고 대응 시나리오를 짜둔 상태다. 다만 현재는 발사가 언제 이뤄질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어떤 부위가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전까지는 발사 예정일 내에 이뤄질지 아닐지 확실히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발사체를 발사하는 과정에서 극저온 센서 관련 오류로 발사가 연기되는 사례는 종종 있다”며 “현재로선 센서와 계통 부분만 확인하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변수가 있겠지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누리호 발사 준비 작업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순조롭게 진행됐다. 항우연은 이날 오전 11시30분 누리호의 발사대 기립 및 고정 작업을 완료했다. 누리호의 발사대 고정 뒤 오후 7시까지 최종 점검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