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체불명 ‘정책지원금’ 문자, 진짜 정부지원금일까 [FACT IN 뉴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FACT IN 뉴스

입력 : 2022-05-26 16:00:00 수정 : 2022-05-26 14:35:5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부·금융권 사칭한 피싱 문자

당국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거절"
"출처 불분명한 인터넷 주소 클릭하지 말아야"

‘긴급생활 안정자금’, ‘방역지원금’, ‘상생소비 지원금’ 신청 대상이라며 오는 문자는 진짜로 정부지원금 안내문자일까?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 명의로 정책자금 신청대상인데도 현재까지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면서 인터넷주소(URL)를 첨부한 문자를 보면 얼핏 솔깃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오는 인터넷주소를 클릭하거나 전화상담을 걸어선 안된다. 정부와 금융권을 사칭한 피싱 문자이기 때문이다.

 

이들 사기범들은 정확한 상담을 위해 필요하다면서 주민등록번호, 소득, 직장 및 재산 현황 등 개인정보를 요구한다. 그러고는 저금리 대출을 위해서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고 추가 대출을 받은 후 바로 상환해 신용평점을 높여야 한다며 돈을 받아 가로채거나 코로나19 로 비대면대출만 가능하다면서 인터넷주소를 보내 원격조종앱 설치를 유도하고, 피해자의 뱅킹앱 접속을 통해 자금을 챙겨간다.

 

이런식으로 지난해 보이스피싱(계좌이체형)으로 입은 피해금액은 모두 1682억원, 피해자수는 1만3204명에 달한다. 그러나 이 중에서 환급된 피해금액은 603억원으로, 환급률은 35.9%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메신저피싱 피해액은 991억원으로 전년보다 618억원이나 급증해 피해비중이 58.9%에 달하는 지경이 됐다. 코로나19 이후 메신저 등을 통한 비대면채널 이용이 증가하면서 사기수법이 대출빙자형에서 메신저피싱으로 달라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에서는 이런 문자나 전화를 받을 경우에 개인정보 제공 및 자금 이체 요청은 무조건 거절하라고 권고한다. 정부기관, 제도권 금융회사 등은 문자·전화를 통한 특별 광고, 개인정보 제공 및 송금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시중금리보다 낮은 대출금리 등을 빙자한 개인정보, 자금 이체 요구는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주의해야한다.

 

아울러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 주소는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한다고도 경고한다. 사기범이 보낸 출처가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를 클릭했다가는 원격조종 악성앱이 설치되고 개인(신용)정보가 모두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악성앱을 이미 설치했다면 모바일 백신앱으로 검사후에 삭제하거나 데이터 백업 후 휴대폰 초기화, 지인이나 휴대폰 서비스센터 등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또 보이스피싱에 당한 것을 알게되면 금융회사 콜센터나 금융감독원 콜센터(1332)에 전화해 해당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해야 한다. 본인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을 조회하거나 추가 개통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명의도용 방지서비스(www.msafer.or.kr)의 가입사실 현황조회 또는 가입제한 서비스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