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KDI “대외 불확실성 충격에 따른 환율 영향력 과거보다 줄었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5-12 15:00:00 수정 : 2022-05-12 14:05:51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진=연합뉴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대외 불확실성의 확대가 자본유출 가능성을 높이고 환율 상승을 유발했지만, 그 영향은 2014년 이후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최우진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12일 ‘대외 불확실성이 환율 및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가 대외 순자산국으로 전환된 2014년을 기점으로 대외 불확실성의 영향이 이전보다 축소됐다고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 불확실성을 대리하는 지표로 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VIX)를 활용해 환율 상승 폭과 자본 유출 규모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VIX가 100%포인트 증가할 때 환율 상승분은 2013년 이전에 7.9%포인트 상승하고 자본유출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3.0%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2014년부터는 VIX가 100%포인트 증가할 때 환율 상승분은 2.6%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같은 시기 자본유출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 불확실성 충격과 환율 및 자본 유출의 관계를 보면 2014년 이후 환율 상승 및 자본유출 규모, 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졌다”며 “2018년 1분기 신흥시장 조정, 2018년 4분기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된 상황에서도 대규모 자본 유출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서는 “글로벌 위기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대규모 외국인 자본 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국 자본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분기별로 봤을 때 코로나19 위기가 발생했던 2020년 1분기 이후 현재까지 외국인 자본은 채권을 중심으로 지속해서 순유입됐다”며 “최근 환율이 상승(원화 절하)하고 있으나 대외 충격을 고려하면 과거 대비 상대적으로 환율 상승 폭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제기된다”고 전했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 불확실성 충격의 영향이 적어진 배경으로 비교적 낮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지속, 타 국가보다 GDP 대비 국가채무가 낮은 점,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국제 경쟁력 등을 거론했다.

 

최 연구위원 “대외건전성을 지속해서 유지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환율 및 자본유출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갑작스러운 금융시장의 불안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및 재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