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위암 환자, 나이들수록 기저질환·합병증 위험 커진다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5-11 16:14:23 수정 : 2022-05-11 16:14:23

인쇄 메일 url 공유 - +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교수팀, 노인 위암 특성 분석·연구
“연령 높을수록 위암보다 기저질환·합병증 원인 사망률↑”
“연령·기저질환·합병증 고려해 환자 치료방침 결정해야”
게티이미지뱅크

 

위암 환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위암 자체보다 기저질환이나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이 가파르게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암 외 사망률을 높인 질환은 심뇌혈관 질환과 폐질환, 패혈증 등이 있었다. 이들 질환은 모두 환자의 기저질환과 합병증에 큰 영향을 받는 요인들이었다.

 

11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제1 저자 소화기내과 최용훈 교수)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이 병원에서 위암 진단 및 수술을 받은 환자 2983명을 대상으로 노인 위암의 특성을 분석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65세 미만(1680명) ▲65세 이상 75세 미만(919명) ▲75세 이상(384명)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해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위암 환자의 연령이 늘어날수록 위암 연관 사망률은 6.3%(65세 미만)에서 10.4%(75세 이상)까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하지만 이는 위암 이외의 질환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이 2.8%에서 18.8%로 급증한 것에 비하면 증가폭이 작았다. 

 

위암으로 사망한 비율이 약 1.6배 늘어나는 동안 위암 이외의 질환으로 사망한 비율은 약 6.7배 증가한 것이다.

 

위암 외 사망률을 높인 질환으로는 심뇌혈관 질환, 폐질환, 패혈증 등이 있었는데, 모두 환자의 기저질환과 합병증에 큰 영향을 받는 요인들이었다. 

 

즉, 고령 환자의 치료 방침을 결정할 때 환자의 나이가 높아지면 위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은 물론 기저질환이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더 비중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이가 늘수록 위암 자체도 위험하지만, 동시에 위암 외 합병증 등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이보다 훨씬 더 크게 증가한다는 점을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밝혔다”라며 “고령 위암 환자의 치료 방향을 정하기 위해 연령과 함께 수술 전 기저질환을 확인하고 전신 상태를 평가하는 등 적극적인 노인포괄평가가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노인병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노인 의학 및 연구 연보’(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AGMR)에 최근 게재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