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법사위원장은 野' 주장해 와…상임위 배분은 협의하면 돼"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11일 정부·여당이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을 지원하기 위해 '33조원 +α(플러스 알파)'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하기로 한 데 대해 "이번 추경은 코로나로 인한 국민 피해를 보상할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추경은) 지난 대선에서 여야가 한 대국민 약속을 함께 실천하는 첫 걸음"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늦은 만큼 완전하고 확실한 지원이 신속히 이뤄지길 바란다"며 "민주당은 정부안에 부족한 사업을 제시하고 보완해 가겠다"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1차 추경과 이번 2차 추경을 합친 규모가 50조원을 넘는 데 대해서는 "예산당국과 세정당국의 의도성을 철저히 따져보고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재원 마련을 위한 지출 구조조정은 국회를 통과한 기존 사업의 집행에 차질이 없는 범위에서 기업 활력과 성장잠재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박 원내대표는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준과 관련해서는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왜 며칠 안에 (인준안을) 처리하지 않으면 민주당이 큰 발목을 잡는 것처럼 정략적으로 몰아가는가"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 초대 국무총리였던 이낙연 전 총리의 경우는 국회에 임명동의안이 제출되고 나서 (임명되기까지 정부 출범 후) 21일이 걸렸다"며 "후보자에 문제가 없으면 우리도 흔쾌하게 처리하면 될 일"이라고 밝혔다.
21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장을 맡기로 한 여야 전임 원내대표 간 합의를 두고는 "후반기 원 구성의 국회법 협상 법적 주체는 현재의 원내대표들"이라며 '원점 재논의' 입장을 거듭 피력했다.
박 원내대표는 "'야당이 정부·여당을 견제하는 차원에서 법사위원장을 맡는다'는 논리는 국민의힘이 펼쳐온 논리"라며 "법사위를 포함해 향후 상임위를 어떻게 배분할지는 본격적인 협의에 착수하면 된다"라고 덧붙였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