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제재 결의 위반 문제 논의
軍, 11일 전군주요직위자회의

북한의 최근 무력도발과 관련해 한·미·일 3국의 요청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11일(현지시간) 오후 뉴욕에서 열린다. 오는 20일부터 이어지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국과 일본 순방의 가장 중요한 의제도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될 전망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최근 일련의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한·미·일 3국은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을 요청했다”며 “우리는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을 요청했을 뿐 아니라 직접 이해당사국으로서 이번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안보리 회의에서는 북한의 지난 7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와 7차 핵실험 가능성 등 잇단 무력도발과 안보리 제재 결의 위반 문제가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일 순방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한·일 순방을 계기로 북한의 핵실험이 있을 수 있다는 예상과 관련해 “분명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할 때, 특히 최근의 (미사일) 시험을 고려해 북한이 의제의 최우선(front and center)이 될 것이며 지역 안보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윤석열정부 출범과 21일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군 당국은 최근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들로 구성된 위기관리 태스크포스(TF)를 운용 중이다. 군과 정보 당국은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 복구 작업이 마무리 단계여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결정에 따라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11일 취임 직후 전군주요직위자회의를 열어 각급 부대의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책 등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