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치아 건강에는 커피나 음료보다 이것 마시는 게 효과적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5-10 14:55:11 수정 : 2022-05-10 14:55: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하루 1.5~2L의 ‘물; 마시는 게 좋아…조금씩 자주 마셔야
커피 자주 마시면 카페인 탓에 ‘구강건조증’ 유발할 우려
콜라 등 탄산음료, 치아 부식…향 첨가 탄산수도 안 좋아
미지근한 물과 우유, 긴장 완화 효과+치아 건강에 도움
생수. 게티이미지뱅크

 

수분 보충은 구강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입 속 수분이 부족하면 ‘구강건조증’이 생기기 쉽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가 줄어 입이 마르는 질환으로, 충치 발병 위험을 키우고 입 냄새를 유발한다. 

 

구강건조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일까?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습관적으로 마시는 커피는 치아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커피에 든 설탕, 생크림, 캐러멜 등은 당도가 높고 끈끈하기 때문이다. 

 

박진형 제주 노형유디치과의원 대표원장은 “첨가물이 든 커피는 치아에 오래 붙어 있어 충치 위험이 커진다”라며 “커피 속 탄닌 성분이 치아 표면의 구멍으로 흡수되면 치아를 누렇게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커피. 게티이미지뱅크

 

이에 따라 커피를 마실 때는 되도록 설탕, 생크림 등 첨가물을 넣지 않거나 적게 넣는 것이 좋다. 

 

또한 커피를 마신 뒤에는 물로 입을 헹궈 변색을 막아 주고, 입을 헹군 뒤 20~30분 뒤에 양치하는 게 좋다. 커피를 마신 직후에는 입안이 약산성으로 바뀌는데 이때 바로 양치질을 하면 치약 성분이 치아의 가장 바깥층인 법랑질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커피 외에도 청량감을 주는 콜라·사이다 같은 탄산음료나 탄산수를 찾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탄산음료는 산 성분뿐만 아니라 당분도 많아 습관적으로 섭취하면 충치나 치주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탄산수는 약간의 산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치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물의 수소이온 농도가 산성(PH 5.5 이하)이면 법랑질을 녹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탄산수의 산성도는 PH 3~4 정도로, 탄산수를 습관적으로 마시면 치아 부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산도가 낮은 탄산수에 자몽이나 레몬 등 과일향의 합성감미료가 포함되면 탄산수의 산도는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첨가물이 없는 탄산수를 마시는 것이 치아건강에 좋다. 수분을 섭취하려면 커피, 탄산수보다는 생수를 마시는 게 좋다. 

 

탄산음료. 게티이미지뱅크

 

이와 함께 하루 물 섭취량은 1.5~2L가 적당하며, 한 번에 많이 마시기보다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긴장되는 순간이라면 차가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이 좋으며, 우유 한 잔 마시는 것이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된다. 우유 속 멜라토닌의 주성분인 트립토판이 긴장을 완화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치아 건강을 위해서라면 당분이 없고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미네랄워터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해 구강 내 잇몸 뼈 구성에 도움이 되고, 입냄새 제거에 효과가 있다. 

 

박 원장은 “중장년, 노년층은 노화가 시작되면서 침이 잘 분비되지 않아 구강건조증이 더욱 심해진다”며 “충분한 수분 섭취를 비롯해 1년에 한 번 이상 스케일링을 받고, 구강 질환이 발생하기 전에 주기적인 구강검진으로 질환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엔믹스 규진 '시크한 매력'
  • 나나 '매력적인 눈빛'
  • 박보영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