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상 입은 여성, 허리둘레 5㎝ 늘수록 골절 위험 3%↑”
“저체중 남성, 정상 남성보다 팔목·앞팔·팔꿈치 골절 위험↑”

과체중 여성과 저체중 남성이 뼈가 부러질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메디컬 익스프레스의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라발대 연구센터 내분비·신장학 연구실의 안-프레데릭 투르코트 박사 연구팀은 성인 남녀 1만9357명을 대상으로 평균 5.8년에 걸쳐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 대상 중 820명(여성 459명, 남성 323명)이 골절상을 겪었다. 이 중 415명은 고관절·대퇴골·척추·팔목 등 골다공증성 골절, 353명은 발목·발·경골 등 하지 원위부 골절, 203명은 팔목·앞팔·팔꿈치 등 상지 원위부 골절이었다.
골절상을 입은 여성은 허리둘레가 5㎝ 늘어날 때마다 모든 부위의 골절 위험이 3%, 하지 원위부 골절 위험이 7% 높아졌다.
또한 체질량지수(BMI)가 27.5인 여성은 하지 원위부 골절 위험이 5% 커지기 시작해 BMI가 올라갈수록 점점 더 높아졌고, BMI가 40에 이르면 40%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남성은 허리둘레나 BMI 증가가 골절 위험과 뚜렷이 연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BMI가 낮은 저체중에 해당하는 남성은 BMI가 정상 수준인 남성보다 상지 원위부 골절 위험이 높았다. BMI가 17.5 이하인 남성은 BMI가 25인 남성보다 상지 원위부 골절 위험이 2배 높았다.
BMI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서양에서는 18.5∼24.9면 ‘정상’, 25∼29.9는 ‘과체중’, 30∼34.9는 ‘비만’, 35∼39.9는 ‘고도비만’, 40 이상은 ‘초고도 비만’으로 분류된다.
이 모든 연구 결과는 연령, 폐경, 인종, 결혼 여부, 교육 수준, 소득 수준, 흡연, 음주, 신체활동 수준, 칼슘 또는 비타민D 보충제 복용 등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여성에게만 비만이 골절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는 이유는 연구진도 명확히 밝히지 못했다.
그러나 골절의 원인은 대부분 낙상은 대체로 비만한 사람에게 빈발한다. 특히 발목은 고관절, 대퇴골과는 달리 연조직의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낙상 때 골절이 잘 된다.
여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BMI보다 골절 위험과 더 강한 연관이 있는 이유는 복부 깊숙이 쌓인 내장지방에서 뼈의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분비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동안 비만은 골절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체중이 늘수록 높아지는 뼈에 대한 기계적인 부하가 뼈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골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비만과 골절 위험의 연관성은 성별, 골절 부위, 비만의 기준(BMI나 허리둘레)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들이 최근 발표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서 열린 ‘비만 학술회의’(ECO: Congress on Obesity)에서 발표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