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경기장 등 마스크 해제 확대
먹는 치료제 당일 처방 우선 추진
가을 재유행 경고음에 신중론도
확진자 연이틀 증가… 감소세 정체

10일 윤석열정부가 출범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방역대책이 어떻게 바뀔지 관심이 쏠린다. 코로나19와의 공존과 변이 대응, 재유행 대비 등은 새 정부가 마주한 장·단기 과제들이다. 새 정부는 코로나19 대응 키워드를 ‘과학적 방역’으로 삼고 준비하고 있다.
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오는 11일 새 정부의 첫 중대본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새 정부 중대본은 ‘포스트 오미크론’ 조치들을 우선 논의한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이달 중 ‘실외 마스크 프리(Free)’ 선언을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다. 50인 이상 참석 집회·스포츠 경기 등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유지되고 있는데, 이 조치도 전면 해제하겠다는 것이다.
코로나19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 결정도 새 정부의 몫이다. 정부는 지난달 25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1급에서 2급으로 낮추면서 잠정 4주간 이행기 후 확진자 격리를 권고로 변경할지 판단하기로 했다. 그러나 새 정부는 이행기를 더 길게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 그동안 인수위는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검사 당일 먹는치료제 처방과 거점전담병원 입원을 가능하게 하는 ‘패스트트랙’ 정비는 우선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거리두기도 개편한다. 새 정부는 다음 달 전문위원회를 설치해 오는 8월 초안을 마련하고, 10월 거리두기 조정 매뉴얼을 준비한다는 계획표를 세워두고 있다. 업종 전체에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아닌 밀집·밀접·밀폐 기준과 다중이용시설 테이블 간 거리, 환기시설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예고했다.
새 정부가 긴장을 늦추지 못하는 것은 가을과 겨울에 코로나19 재유행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미 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정체하는 조짐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601명으로, 전주 월요일(2일) 2만76명보다 525명 많다. 일평균 확진자수를 봐도 7일 3만8088명에서 8일 3만8417명, 이날 3만8492명으로 이틀 연속 증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