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러 경제제재 강화 한목소리
美, 부차학살 연루자 비자제한

미국 등 주요 7개국(G7) 정상이 8일(현지 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초청한 화상 회의 후 공동성명을 통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는 등 대러 경제제재를 강화하기로 했다.
G7 정상은 성명에서 “우리는 러시아 석유 수입의 단계적 중단 혹은 금지를 통해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을 점진적으로 중단할 것을 약속한다”며 “우리는 시기적절하고 질서 있는 방식으로, 세계가 대체 물량을 확보할 시간을 주는 방식으로 그렇게(수입금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G7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이다.
G7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경제 동맥을 강력하게 타격하고, 전쟁 자금을 대는 데 필요한 수입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독일은 이달 초 대러 의존도를 축소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단서를 두면서도 석유금수 조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역시 2024년 하반기까지 러시아산 천연가스에서 완전히 독립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9일 총리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결정에 대해 “어려운 결단이었으나 G7 결속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동참 의사를 분명히 했다.
미국 정부는 G7 화상 정상회의 후 러시아 국영방송인 채널-1, 로시야-1(러시아-1), NTV 등 3사와 거래를 금지하고, 러시아인에게 회계 및 경영 컨설팅 등의 서비스 제공을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또 러시아 및 벨라루스 관리 2600여명에 대해 비자제한 조치를 하는 데 이어 인권침해, 부패 등에 연루된 러시아군 관계자 등에 대해 추가로 비자제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추가 비자제한 대상에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 부차 지역에서 발생한 학살 연루자도 포함됐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