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층 결집은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공익 대표자 될 수 없어”

9일 오전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른바 ‘검수완박’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청문위원으로 자리한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싸우자는 건가”라며 한 후보자에 사과를 요구했다. 아울러 사과가 없을 시에는 청문회를 진행할 수없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날 오전 한 후보자는 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최근 소위 ‘검수완박‘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시행을 앞두고 있어 국민적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부패한 정치인과 공직자의 처벌을 어렵게 하고, 그 과정에서 국민이 보게 될 피해는 너무나 명확하다”라고 말하며 민주당의 심기를 건드리는 발언을 했다. 민주당에서는 현재 ‘검수완박’이란 표현대신 ‘검찰정상화’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기때문이다.
김 의원은 “한 후보자가 인사말에서 검수완박이라는 용어를 굳이 쓴 것은 싸우겠다는 거죠”라며 “인사청문회를 오랫동안 해왔는데 인사말을 ‘한판 붙을래?‘ 식으로 말한 후보자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런 발언은 그쪽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끌어모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공익의 대표자가 될 수는 없다”며 “국회의원으로 선수(選數)는 누릴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장관, 정부를 맡을 순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검수완박이라는 표현은 사실이 아니다. 민주당 내에서도 보완수사를 박탈해서는 안 된다는 논쟁이 벌어져 많이 조정됐고 수사·기소 분리 정도로 (법안이) 통과됐다”며 “발언을 취소하지 않으면 청문회를 할 이유가 없다. 취소하고 사과하라”고 질타했다.
민주당 김영배 의원도 “의도적으로 검수완박 발언을 했다면 청문회를 도발하려는 것”이라며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그렇게 전문성도 없는 이야기를 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따졌다.
민주당 출신 무소속 민형배 의원 역시 “한 후보자는 검수완박을 거론하면서 명분없는 야반도주라고도 했다”며 “국회를 모욕하고 대의기관에 대해 함부로 대하는 태도에 대한 사과 없이는 청문회가 가능하지 않다”고 일갈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