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9.1% → 2020년 52.4%
“비혼 급격한 확산…저출생 심화될 것”

결혼해서 아이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고 응답한 20대가 5년 새 크게 늘어 과반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는 9일 ‘나라경제 5월호’을 발표하고,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분석 및 연구’ 등을 인용해 ‘우리 시대 가족’의 모습을 전했다.
이에 따르면 결혼하고 아이를 갖지 않는 데 동의하는 20대 비율은 2015년 29.1%에서 2020년 52.4%로 23.3%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 세대에서 동의 비율이 21.3%에서 28.3%로 7.0%p 오른 것보다 더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결혼 후 출산이 필수가 아닌 ‘선택의 문제’라는 인식의 변화가 자리 잡고 있는 결과로 KDI는 해석했다.
그 원인으로 양육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도 배경으로 꼽힌다.
미국의 투자은행인 제퍼리스 금융그룹(JEF)이 베이징의 유와인구연구소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한국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아이를 낳아 18세까지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다. 실제 2013년 기준 1인당 GDP의 7.79배에 달했다.

출산 기피 등에 따른 저출생 현상이 앞으로 더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은 가족실태조사 분석 및 연구 보고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혼 독신에 동의하는 20대 비율은 2015년 37.0%에서 2020년 52.9%로 상승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