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용차인 포터와 봉고가 올해 들어 현대차그룹 차량 판매량 1·2위를 휩쓴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현대차·기아의 실적 자료에 따르면 포터는 지난달 국내에서 총 8423대가 팔려 현대차 중 가장 많이 판매됐다.
포터는 지난해에도 국내 시장에서 총 9만2218대가 팔리며 현대차와 기아 통합 판매량 순위에서 최다 판매 차량에 올랐다.
기아는 봉고Ⅲ가 지난달 판매량 6402대를 기록하며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포터와 봉고Ⅲ는 지난달 현대차·기아의 국내 합산 판매순위에서 나란히 1·2위를 차지했고, 올해 1∼4월 합산 판매량에서도 각각 2만6569대, 2만1760대로 1·2위를 기록했다.
상용차가 현대차그룹의 자동차 판매순위에서 1·2위를 연이어 차지한 것은 처음이다.
우선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출고 지연으로 승용모델 판매량에 차질을 빚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수년째 인기 모델인 그랜저와 쏘나타, 아반떼는 공급 차질로 작년 판매순위가 2위, 6위, 4위로 떨어졌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소형 트럭을 찾는 자영업자가 늘고, 상용차를 캠핑카로 개조하는 사람이 많아진 것도 판매량 증가를 이끈 요소다.
친환경차 보급 정책이 이들 차량의 인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1.5t 미만 전기 화물차를 새로 사면 신규 영업용 번호판을 무상으로 장착해주는 정부 정책 덕에 포터 일렉트릭과 봉고Ⅲ EV의 판매량이 증가했지만 이 정책은 지난 3월 종료됐다. 포터와 봉고Ⅲ의 연식 변경 모델의 가격이 강판 등 원가 상승 압박에 따라 꾸준히 오르는 점도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