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빅스텝’에 시중은행들 2분기에도 ‘실적잔치’ 벌일듯

올해 들어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계속해서 부진했던 것과 달리 인터넷전문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4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금리 인상 수혜로 1분기 역대 최대 이익을 거둔 시중 은행들의 ‘실적 잔치’는 2분기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3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 합계는 37조2718억원으로, 3월 말(36조1439억원)보다 1조1279억원 증가했다. 지난 1월(+1조1916억원), 2월(+6580억원), 3월(+8114억원)에 이어 4개월 연속 늘어난 것이다.
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이 확대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5월 인터넷전문은행이 중·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공급을 늘리겠다는 당초 설립 취지와 달리 고신용자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 당국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잔액 비중 목표로 케이뱅크 21.5%, 카카오뱅크 20.8%, 토스뱅크 34.9%를 제시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까지 각각 17.0%, 16.6%를 기록해 목표치에 미달했지만, 올해는 이 비중을 끌어올려 최근 20%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말 23.9%였던 토스뱅크는 최근 33%대까지 끌어올렸다.
또 인터넷은행이 ‘첫 달 이자 지원’ 등의 행사를 적극적으로 펼치면서 제2금융권 중·저신용자들이 대출을 갈아탄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은행이 올해 들어 여신 포트폴리오를 본격 확장하는 움직임을 보인 점도 성장 요인으로 제시된다.
이와 달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넉 달째 뒷걸음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702조3917억원으로, 3월 말(703조1937억원)보다 8020억원 줄면서 4개월 연속 감소했다. 다만 감소 폭은 1월(-1조3634억원), 2월(-1조7522억원), 3월(-2조7436억원)과 비교하면 1조원 밑으로 줄어들었다.
1분기 가계대출 부진에도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금융그룹들은 2분기에도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가 뛰면서 이자수익이 늘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만큼, 앞으로도 금리 상승 덕을 볼 수 있단 얘기다. 최근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다시 올릴 가능성이 커졌다. 통상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은도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주요 금융지주의 순이익은 2분기에도 4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의 2분기 순이익을 4조3000억원 이상으로 예상한다.
주요 금융지주들은 금리 인상기에 이자이익이 극대화되면서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낸 바 있다.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금융그룹의 1분기 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은 총 5조2362억원으로 파악됐다. 1분기 5대 금융그룹이 거둬들인 이자이익은 총 11조원을 넘는다. 1분기 주요 금융지주의 순이자마진(NIM)은 KB금융 1.91%, 신한금융 1.89%, 하나금융 1.71%, 우리금융 1.73%로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