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재무부가 북한이 해킹을 통해 탈취한 가상화폐에 자금 세탁을 지원한 업체를 제재했다. 북한이 연일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통한 도발을 이어가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취임과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등을 계기로 제7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에서 제재 고삐를 죄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6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가상화폐 믹서 서비스 제공 업체 ’블렌더’에 대한 제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믹서 서비스는 가상화폐를 섞고,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가상화폐 자금 추적 및 사용처, 현금화 여부 등의 거래 추적을 막는 기술이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일부 업체들이 불법 자금 세탁에 악용되고 있다고 OFAC는 설명했다. 미국 정부가 가상화폐 믹서 서비스에 대한 제재를 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제재는 북한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 조직 ‘라자루스 그룹’이 지난 3월23일 블록체인 비디오 게임 ‘액시 인피티니’에서 가상화폐 탈취 중 역대 최대 규모인 6억2000만달러(약 7880억원)를 훔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OFAC는 북한이 2050만달러(260억원)의 불법적인 수익을 처리하는 데 블렌더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OFAC 지난달 14일 라자루스와 연결된 가상화폐 이더리움 지갑을 제재 리스트에 추가했고, 22일에도 지갑 3개를 추가로 제재 대상에 올렸다. OFAC는 북한이 자금 세탁을 위해 사용한 4개의 가상화폐 지갑을 추가로 확인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브라이언 넬슨 재무부 차관은 “불법 거래를 돕는 가상화폐 믹서는 미국의 국가안보 이익에 위협”이라며 “우리는 북한의 불법적 금융활동에 대항해 조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별도 성명을 내고 “북한은 미국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강력한 제재를 회피하고, 불법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가상화폐 거래와 블록체인 관련 회사로부터의 자금 절취에 의존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북한과 외교 추구에 전념하고 있고, 북한이 대화에 관여하길 촉구한다”면서 “동시에 우리는 북한의 불법적 사이버 활동과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에도 계속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