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의심 땐 병원 PCR 받도록
양성 판정 되면 비용 환급해줘
편의점·약국 수급 여전히 불안

정부가 고위험군 우선 PCR(유전자증폭) 검사 체계로 전환하면서 자가검사키트(신속항원검사) 사용이 많아졌지만, 정확도가 떨어져 시민들은 음성이 나와도 안심하지 못하고 있다. 편의점, 약국에서의 키트 판매는 아직도 삐걱대는 상황이다.
15일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는 자가검사키트 음성 이후 PCR 검사 양성 판정을 받았다는 후기가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A씨는 주말 목감기 증상이 있어 자가검사키트를 해봤는데 음성이 나와 출근했다. 이후 지난주 함께 식사한 직장 동료가 키트 양성이라는 소식을 듣고 다시 해보니 양성이 나왔고, PCR 검사 결과 확진이었다.
시민들은 여러 번 검사하며 자구책을 찾고 있다. B씨는 키트에선 음성이었으나 걱정이 돼 병원에서 의사소견서를 받아 PCR 검사를 받았다고 했다. 의사소견서를 받으면 비용이 발생한다. 키트 음성 후 PCR 검사 양성이 나왔다는 C씨는 “보건소 문자가 오기 전 집에서 키트 검사를 했을 때도 음성이었다”며 “키트보다는 증상을 믿고, 증상이 있으면 의사소견서 받아 PCR 검사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했다.
당국도 키트의 정확도가 PCR 검사보다 떨어진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초기 분석에서 키트 양성 판정 중 25%는 PCR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다. 하지만 하루 PCR 검사 역량에 한계가 있어, 고위험군 확진자를 찾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김갑정 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총괄팀장은 “증상이 있다면 의료기관에서 진찰을 받는 것을 권한다”며 “개인이 의료기관에서 자비로 검사를 받고 양성이 확인됐다면 해당 병원에서 비용을 환급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자가검사키트 온라인 판매가 중단되고 약국, 편의점 판매가 시작됐지만, 약국에는 하루 50개로 제한됐고, 편의점은 소분 판매용 봉투가 갖춰지지 않는 등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이다. 대한약사회는 이번 주까지 약국 한 곳이 키트 도매업체에서 받을 수 있는 하루치 최대 물량을 25개들이 대용량 포장인 경우 2묶음으로 한정했다고 밝혔다. 편의점에도 20개들이 대용량 제품이 공급돼 1인당 5개 수분판매가 시작됐는데, 제품을 담아야 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제작 봉투가 없는 곳이 많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