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활용 노력에도 막대한 유지비
3년간 하키센터 적자만 35억원 육박
2024년 1월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
트로피 전시 ‘뮤지엄’ 개관 등 안간힘
“경제성 논란 털고 동계스포츠 메카로”
지난 7일 오전 KTX 강릉역에서 20여분을 걸어 도착한 강원 강릉올림픽파크에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경기가 열린 하키센터와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등이 반겼다. 각국에서 온 이들로 열기가 가득했던 4년 전과 달리 오가는 이는 드물었고, 한복판 광장에 세워진 ‘스케이트 조형물’도 추운 날씨 탓인지 더욱 쓸쓸해 보였다.
◆다시 찾은 강릉올림픽파크… 우려했던 ‘하얀 코끼리’는 현실이었다
일부 경기장은 오는 13∼16일 열리는 ‘제19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 개최 장소로 지정됐다. 마침 이날부터 경기가 시작된 강릉컬링센터에는 일정을 알리는 현수막이 내걸렸고, 사전 경기 중인 하키센터에서도 선수단 관계자들이 종종 눈에 띄었다. 이번 대회는 선수단 485명과 임원 등 480명이 참가하는데, 인근 춘천과 평창, 횡성 등에서도 알파인스키와 스노보드 등 총 7개 종목이 열릴 예정이다. 아이스하키와 컬링 참가자 중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와 이들 종목의 남은 일정이 모두 취소됐다는 소식은 이튿날인 8일 전해졌다.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문이 굳게 잠겨있어 대조됐다. 올림픽 이후 생활체육시설로 쓰이려던 이곳은 영화 촬영장 등으로 바뀌어 활용됐지만, 그나마도 대관 신청이 없어 지난해 5월부터 사실상 방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도는 2018년 12월 하키센터 등을 도개발공사에 양여(讓與)하는 등 사후 활용도를 높이는 데 힘써왔다고 한다.
이 같은 노력에도 이들 시설의 막대한 유지비에서 비롯되는 ‘하얀 코끼리’(White elephant) 논란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여전히 이들 시설을 둘러싸고 수입보다 지출이 컸고, 생각지 못한 코로나19 장기화 사태 등으로 대관까지 잇따라 무산되면서 우려는 현실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강원도청 제공 자료 등을 근거로 2019∼2021년 하키센터에서만 34억8000만원의 적자를 봤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 기간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8억4600만원, 쇼트트랙과 피겨 종목이 열린 아이스 아레나의 누적 적자는 13억4200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기념관 세우고 성화대도 보존한 강원도의 노력 빛 볼까
이들 시설에선 2024년 1월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가 개최된다. 이를 위해 강원도는 평창 대회의 유·무형 유산을 승계해 동계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시설 사후 활용을 위해 아이스 아레나에 역대 올림픽 트로피 등을 전시한 강릉올림픽뮤지엄을 지난해 개관했고, 평창 대회 개·폐막식 무대로 쓰였다가 철거된 올림픽스타디움 자리에는 기념관을 세워 방문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지상 3층에 연면적 3681㎡(전시 공간 2804㎡) 규모인 기념관은 상설 전시장과 카페 등을 갖췄으며, 성화봉과 올림픽 기념주화, 입장권 등이 전시됐다. 기념관 운영은 올림픽 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존·발전 임무를 맡은 2018 평창기념재단이 담당한다.
기념관을 둘러보니 올림픽을 밝혔던 성화대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평창 올림픽·패럴림픽 수상자와 국가명을 새긴 동판으로 장식한 기념공간이 성화대 밑동을 둘러싸고 있다.
기념관 방문 후기도 살펴봤는데, 호평이 대부분이어서 향후에도 관심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기념관 근처에서 만난 주민들은 “평창 대회의 자부심을 여전히 느낀다”고 입을 모았다. 하얀 코끼리 논란 등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눈치였다. 한 주민은 ‘나중에 평창에서 동계대회가 또 열리면 어떨 것 같으냐’는 질문에 “당연히 좋지 않겠느냐”라고 반겼다.
강원도는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 평창 대회의 유산인 경기장을 활용하는 만큼 앞으로 경제성 논란을 종식하고, 동계 스포츠의 메카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청소년올림픽 대회 기간 강릉과 평창 등으로 나뉘어 7개 경기(81개 세부종목)가 치러지는데, 70여개국 2600여명(선수 1900명)이 참가한다.
강원도 측은 “성공 개최를 위해 대회지원위원회와 행정지원본부 구성으로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며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레모 퇴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44.jpg
)
![[박창억칼럼] 겸손이 그렇게 힘든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35.jpg
)
![[기자가만난세상] 특별하지 않는 지역 방문의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20.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분노보다 성찰, 배척보다 포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46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