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확진자 수만명이지만 중증 환자 수십명
“코로나19와 ‘공존’ 가능해졌다”
다만 ‘팬데믹 종식’ 선언은 시기상조

유럽 일부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정책을 대폭 풀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확진자는 급증하지만 중증 환자의 입원은 줄면서 코로나19와의 ‘공존’이 가능해졌다고 판단한 것이다.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는 1일(현지시간) “이번 겨울 방역 정책을 마침내 철폐할 수 있는 시점에 이르렀다”며 “이제는 높은 감염위험과 함께 살게 되고,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스퇴르 총리는 “확진자 수는 많이 늘고 있지만 입원 환자 수는 줄어들었다”면서 “감염자 수가 늘어도 상당수 방역 정책을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스크도 벗는다’ 방역 규제 완화·폐지
총리 발표와 함께 노르웨이의 방역 조치 대부분이 완화됐다. 식당의 영업시간 제한과 오후 11시까지로 제한됐던 주점의 주류판매 시간제한이 사라졌다. 재택근무 의무화 조치와 10명 인원 제한도 없어졌다. 또 노르웨이에 입국하는 여행객은 코로나19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된다.
확진자 밀접접촉자는 접촉 후 5일간 매일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격리는 하지 않는다. 다만 1m 이상 거리두기와 대중교통·상점에서의 마스크 착용 등 일부 방역 수칙은 유지한다.
유럽연합(EU) 국가 중 첫 번째로 방역 규제 전면 폐지를 선언한 덴마크는 이날 마스크 착용과 백신 패스 등 모든 방역 규제를 해제했다. 대중교통이나 상점 등 실내 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병원과 건강관리시설, 요양원 등에서만 마스크 착용을 ‘권고’한다.

오스트리아는 이날부터 식당과 상점의 영업시간 제한을 오후 10시에서 자정까지로 연장했다. 오는 12일부터는 일반 상점 출입 시 방역 패스 의무도 폐지된다. 다만 오스트리아는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리려고 백신 접종 의무화 제도를 도입했다. 백신 미접종자는 벌금으로 최대 3600유로(약 480만원)를 내야 한다.
이밖에 핀란드와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등이 방역 규제를 완화하거나 폐지할 예정이다.
◆확진자 수 높지만...중증 환자↓ 백신 접종↑
방역 규제를 해제한 국가들은 코로나19가 여전히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보건의료체계에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백신 접종률도 높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인구 540만명의 노르웨이 하루 신규 확진자는 지난해 12월 3∼4000명 수준이었지만 이달에는 하루 2만명으로 급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는 10∼20명 수준으로 델타 변이가 유행했을 때보다 적다. 또 노르웨이의 백신 접종률은 90%를 넘어섰고 인구의 절반은 부스터샷을 접종한 상태다.
인구가 580만명인 덴마크에서는 전날 하루 신규 확진자가 5만명을 넘어서면서 최근 1주일간 인구 10만명당 신규 확진자가 5200명을 웃돈다. 하지만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는 32명에 불과하다.

◆“새 변이 출현하면 다시 방역 강화할 것”
유럽 일부 국가들이 속속 방역 규제를 풀고는 있지만 팬데믹 종식을 말하기엔 이르다는 게 공통된 판단이다.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는 “팬데믹이 끝나가는 건지 아직 모른다”며 “다시 방역 정책을 강화할 수도 있다”고 말하며 팬데믹 종식 선언과는 거리를 뒀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도 “방역 규제와의 최종적인 이별이라고는 말하지 못하겠다”면서 “아직 가을에 새로운 변이가 출현할지를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덴마크는 지난해 9월 초 EU 회원국 중 처음으로 코로나19 방역 규제를 대폭 해제했다가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자 11월부터 잇따라 방역조처를 재도입한 바 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덜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염을 막는 게 더는 불가능하다거나 필요하지 않다는 등의 이야기가 널리 퍼지는 데 대해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망자가 매우 우려할 만큼 늘어났다”며 “코로나19에 대해 승리를 선언하거나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경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