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애플 한국 법인세, 매출 대비 0.9% 불과… 다른 나라엔 4%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2-02 10:40:00 수정 : 2022-02-02 10:34:56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진=AP연합뉴스

지난해 애플이 각국에 낸 법인세 평균이 매출의 4%인 반면 한국에는 0.9%만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코리아가 세금을 덜 내기 위해 매출 원가를 높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은 지난해 애플이 미국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보고서와 애플코리아의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애플코리아가 지난해 납부한 법인세는 628억9000만원으로, 매출 7조971억9700만원의 0.9%였다. 

 

반면 애플이 지난해 세계 각국에 납부한 법인세 총액은 145억2700만달러(약 17조5000억원)이다. 이는 매출 3658억1700만달러(약 440조7400억원)의 4% 수준이다. 애플코리아는 세계 평균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법인세를 낸 셈이다.

 

이는 애플코리아의 영업이익률 자체가 낮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애플코리아의 영업이익률은 1.6%에 그쳐 애플 세계 평균인 29.8%의 18분의 1에 불과했다.

 

애플의 지역별 영업이익률은 미주 34.8%, 유럽 36.4%, 중화권 41.7%, 일본 44.9%, 기타 아태 지역 37.2% 등이다.

애플코리아는 주요 제품을 싱가포르 법인인 ‘애플 사우스 아시아’를 통해 수입하면서 매출액 대부분을 수입 대금으로 지불해 한국에서 영업이익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애플코리아의 수입대금은 매출의 95%인 6조7233억원에 달했다.

양정숙 의원은 “애플코리아가 매출원가를 과도하게 높게 잡아 영업이익을 낮춘 것으로 보인다”며 “영업이익률을 낮춰 세금을 회피하는 게 글로벌 기업들의 단골 수법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넷플릭스도 재작년 국내 매출액 4154억원 중 3204억원을 본사 수수료로 지급함에 따라 국내 법인세가 21억여원에 불과했다. 양 의원은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내 매출액이 늘어나는 만큼 투자와 고용, 사회적 기여를 확대하는 대신 영업이익을 줄여 세금을 회피하고 있다”며 “애플이 영업이익률을 조정해 정상적인 세금을 납부하도록 당국이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