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분야 인공지능(AI) 기술 중 음성인식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26일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국방 AI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책자로 발간했다.
국기연은 이번 분석에서 국방 분야에서 AI 기술이 활발히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감시정찰, 지휘통제, 유무인 복합, 사이버 분야의 무기체계 30종을 선별했다. AI 기술 발전에 따른 무기체계 기능의 발전방향을 예측하고, 체계 개발에 필요한 총 272개의 핵심기술도 도출했다.
분석에 따르면 현시점에서 음성인식 기술은 선진국 대비 100% 수준에 도달했다. 영상인식 기술도 95%로 기술 수준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외 △언어인식(86%) △모바일용 하드웨어(85%) △모델 경량화(84%) △공정한 AI(82.7%) △설명 가능한 AI(82%) △국방 추론 및 지식표현(80%) △환경 상호작용 물리지능(80%) 등이 선진국 기술 대비 80% 이상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됐다.
국기연은 향후 국방 분야에서 AI 판단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신뢰지능’ 분야의 기술, 작전상황 평가와 미래 상황 예측 등 지휘관의 상황판단을 지원하는 ‘전장환경 및 상황인지’ 기술 등에 대한 중점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국기연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물은 군 관련 기관과 민간 부처·연구기관 등에 배포된다”며 “국방 AI 발전을 위한 국방기술기획, 신개념 무기체계 발굴, 민간 R&D 기관의 국방 분야 참여정보 제공 등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