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1.25%로 결정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발생한 2020년 2월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 금리 인상에 따라 가계 이자 부담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14일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코로나19가 국내에서 확산하자 지난 2020년 3월17일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한 뒤, 같은 해 5월 0.25%포인트를 추가로 내린 0.5%로 결정했다. 이후 20개월간 초저금리 시대가 이어졌다.
하지만 부동산 급등 등으로 실물·자본시장 괴리가 커지고, 가계 부채 급증, 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자, 한은은 지난해 8월 기준금리를 0.75%로 다시 높였고, 이어 지난 11월에는 1%로 높였다. 불과 5개월 만에 세 차례 금리를 높인 셈이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서두르겠다고 밝혔고, 연내 수차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우리나라의 금리 인상도 올해 최소 한 차례 더 이뤄질 전망이며, 두 차례 이상 추가로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의 이자 부담도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한은은 지난해 8월 기준으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가계 전체 이자 부담은 3조20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8월부터 세 차례 오른 금리로 가계가 감당해야 할 이자는 9조6000억원 불어나게 된다.
차주(대출자) 1인당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에 따라 추가 부담해야 할 연간 이자는 평균 16만1000원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련의 금리 인상으로 차주당 이자가 48만4000원 늘어나게 된다는 계산이다.
특히 이는 지난해 8월 대출 규모를 기준으로 추산한 수치로, 그간 가계대출이 더 늘어난 만큼 실제 가계가 부담해야 할 이자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