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조선 빅딜’ 마지막 문턱서 좌초… 새 매수자 찾기까지 험로 예고

입력 : 2022-01-14 06:00:00 수정 : 2022-01-13 22:52:57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현대重, 대우조선해양 인수 무산

경영 불확실성 커 시간 걸릴 듯
정부 “정상화 흔들림 없이 추진”
대우조선해양. 연합뉴스

유럽연합(EU)의 제동으로 3년을 끌어온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결국 좌초됐다. 대우조선해양의 재무구조 개선 작업이 원점으로 돌아간 것은 물론,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한국 조선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국가 차원의 구상도 물거품이 됐다.

13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EU의 기업결합심사 불승인 결정으로 대우조선해양의 재무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인수·합병(M&A) 무산으로 당초 예정됐던 1조5000억원을 지원받을 수 없게 되면서다. 대우조선해양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297.3%를 기록했다.

다만 2조5000억원가량의 자본 여유가 있고, 조선업 호황 덕에 지난해 수주목표를 141% 초과 달성하는 등 실적은 좋아지는 상황이어서 당장 재무 위기에 빠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정부도 불승인 결정에 아쉬움을 표하면서도 “우리 조선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 등은 이날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간 기업결합은 어렵게 됐으나, 조선산업 여건 개선을 최대한 활용해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와 대우조선 정상화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채권단도 대우조선해양을 정상적으로 수주·조업할 수 있도록 선수금 보증(RG) 등 기존 금융지원을 올해 말까지 연장한 상태다.

정부는 대우조선해양 정상화를 위해 ‘민간 주인찾기’가 필요하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대주주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대우조선 경쟁력 강화방안도 이른 시일 내에 마련하겠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기존 현대중공업그룹과 삼성중공업을 제외한 제3의 인수 기업 후보군으로 포스코, 한화, 효성, SM그룹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대부분의 산업군에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이라 이들 업체가 실제로 인수전에 나설지는 불투명하다.


박세준·송은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