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추세적 감소 단정 어려워”
고승범 “회색 코뿔소 위험 현실화
2022년 가계부채 시스템 관리 강화”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와 대출금리 상승세가 지속된 데다가 연말 상여금이 유입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60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동안 2000억원 줄었는데, 12월에 은행 가계대출이 감소한 건 2004년 1월 통계 집계 이래 처음이다.
항목별로는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778조8000억원으로 한 달 동안 2조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11월(2조4000억원)보다 증가폭이 감소했다. 전세 관련 자금수요가 지속되면서 전세자금 대출이 1조8000억원 증가했지만, 주택매매거래가 둔화하고 집단대출 취급이 줄면서 주담대 증가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신용대출 등이 포함된 기타대출은 2조2000억원 줄었다. 12월 기준 역대 최대 감소폭이다. 은행권 신용대출 관리가 지속되고 대출금리가 상승했으며, 연말 상여금이 유입된 영향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다만 한은은 가계대출이 추세적인 감소세에 돌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박성진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가계대출 수요가 아직은 여전히 높고, 금융기관들도 지난 연말에는 증가세를 관리하다가 올 연초에 본격적으로 대출을 재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면서 “가계대출 증가세의 둔화 흐름이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2000억원 늘어 전월(5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둔화했다. 지난해 전체 가계대출 증가율은 7.1%였다. 가계부채 총량관리가 강화되고, 한은의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전년(8.0%) 대비 한풀 꺾인 모습이다. 금융위는 “7.1%의 증가율은 명목성장률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여전히 빠른 만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경제·금융 전문가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그동안 회색 코뿔소에 비유되던 잠재 위험들이 현실화하고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를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가속화와 코로나19 상황, 중국 경기 둔화, 미·중 갈등 등의 이슈를 꼽았다. 고 위원장은 “작년에는 강도 높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총량규제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가계부채 시스템 관리에 초점을 맞추겠다”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확대 등 시스템에 기반한 가계부채 관리를 기본 틀로 하면서 총량규제는 실물경제,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탄력적으로 운용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