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2012년부터 기술개발 협력
4세대 MMR 안전성 최고 수준
현대엔지니어링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초소형모듈원전(MMR) 사업 분야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4세대 초고온가스로소형모듈원전 전문 기업인 미국의 USNC와 지분투자 계약을 맺고 MMR 글로벌 설계·조달·시공(EPC)사업 독점권을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3000만달러(약 375억원) 규모다.
USNC는 캐나다의 MMR 기업으로 양사는 2012년 3월 고온가스에 관한 기술 개발 협력을 시작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고온가스로 개념설계 및 기본설계를 수행해 왔다. 2019년 2월에는 캐나다 원자력규제기관의 사전 인허가를 통과했다.
올해는 캐나다 토론토 북동쪽 초크리버 원자력연구소 부지에 MMR 실증 플랜트 건설에 착수했으며, 2025년 상업운전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 USNC 가 개발한 4세대 초고온가스로 MMR는 소형모듈원전 중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MMR 원자로 설계에는 마이크로 캡슐화 세라믹 삼중 코팅 핵연료 특허기술이 적용된다.
이 기술은 1800도 고온에서 방사성 물질의 누출 가능성이 없으며, 후쿠시마원전과 같은 중대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핵연료 용융이 원천적으로 배제돼 안전성이 강화된 원자로로 알려져 있다.
세라믹 코팅 핵연료 장착으로 안전성을 확보한 MMR는 기존 원자로보다 고온(750도 이상)의 증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전력은 물론 고온의 공정열 공급과 전기 분해를 이용한 수소의 대량생산도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편 현대엔지니어링은 국내에서도 지난해 경상북도, 울진군, 한국원자력연구원, 포항공대, 포스코, 포항산업과학연구원과 MMR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협력을 진행 중이다.
캐나다 MMA 실증 플랜트를 기반으로 고온가스로를 국내에 도입하고, MMR를 이용해 경제성을 확보한 100MWe급 대용량 전기분해 수소 생산 플랜트를 건설하는 내용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