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백신 미 접종으로 호주오픈 출전 길이 막혔던 테니스 스타 노바크 조코비치가 호주 당국의 비자 취소 결정에 불복해 제기한 소송에서 승소를 거뒀다. 조코비치의 가족들은 “정치적 행위였다”며 호주 당국을 비판했다. 그러나 호주 정부가 다른 방식으로 조코비치의 비자를 취소하겠다고 밝혀 대회 참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10일(현지시간) 호주 연방 순회·가정법원은 화상 심리를 벌인 뒤 입국 비자를 취소한 호주 정부의 결정을 취소해 달라는 조코비치 측의 청구를 받아들였다.
앤서니 켈리 판사는 심리에서 “조코비치가 의료진 등으로부터 (백신 미 접종 사유인) ‘의료적 예외’ 조항에 해당한다는 판단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조코비치가 더는 뭘 할 수 있었겠나”라고 언급했다.
조코비치의 동생 조르제 조코비치는 세르비아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국이 완전히 패배한 것”이라며 “이것은 확실히 모든 것이 정치였다”고 호주 정부를 비판했다.
조코비치의 변호인단은 조코비치가 지난달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됐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호주 정부는 자국 방역수칙 상 외국인은 코로나19에 감염돼도 백신 접종 의무가 사라지지 않는다고 맞섰다.
조코비치가 승소를 거뒀지만, 내주 개막하는 호주오픈 출장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호주 정부 측은 “이민부 장관이 직권으로 조코비치의 비자를 취소할지 검토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이민국 대변인도 법원의 결정을 인정하면서도 “이민국 장관의 개인적 재량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단 이날 법원 명령에 따라 지난 5일 멜버른 공항 도착 직후 계속됐던 조코비치의 억류는 해제됐다. 조코비치는 이날 심리 직전까지 추방 대상자를 위한 구금 시설에 격리돼 있었다.
법원은 또 여권을 비롯한 소지품을 조코비치에게 돌려주고, 소송 비용도 정부가 부담하라고 결정했다.
화상 연결 방식으로 진행된 이 날 심리는 조코비치의 변호인과 정부 측이 각각 2시간씩 변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계 사이트엔 이용자가 몰리며 접속이 지연되기도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