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도부터 100도까지… 올 4회 공연
13일 ‘22℃ 산뜻함’으로 첫 무대

“데뷔한 지 10년이 됐는데, 그동안의 저를 돌아보고 앞으로 음악가로서 삶의 방향을 잡아나가고 발전시키는 데 좋은 시간이 될 거라고 기대합니다.”
2013년부터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아티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시작된 금호아트홀 2022년 상주음악가로 선정된 바이올리니스트 김동현은 10일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책임감이 강하게 든다. 좋은 기회에 감사하고, 최선을 다해 열심히 준비할 예정”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김동현은 2012년 금호영재콘서트로 데뷔했고 2016년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만 17세 나이로 준우승했다. 2019년에는 세계 3대 콩쿠르로 손꼽히는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만 19세에 동메달을 거머쥐었다.
상주음악가로서 금호아트홀에서 올해에만 네 차례 자신의 무대를 열게 되는 김동현은 ‘온도°C’라는 주제로 연주를 준비 중이다. 산뜻하고 차갑게, 뜨겁고 포근한 서로 다른 온도의 무대로 음악의 다양한 색채를 들려줄 계획이다.
그는 “음악의 색채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고민했고, 실감 나게 들을 수 있는 게 온도라고 생각했다”며 “관객들이 귀로 듣지만 시각적인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가치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첫 무대인 13일 신년음악회는 ‘22°C의 산뜻함’이 목표다. 그는 “22도는 포근한 봄날처럼 기분 좋은 편안한 온도”라며 “2년 넘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일상을 빼앗긴 채 살아가고 있는데, 우리의 일상을 되찾길 바라는 소망을 담았다. 밝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고 한 해를 기분 좋게 시작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1부에서는 산뜻하고 청량한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와 화려하고 열정적인 이자이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후버이의 카르멘 환상곡을 들려준다.
2부에서는 시벨리우스의 6개의 소품과 R 슈트라우스의 바이올린 소나타로 감각적이고 아련한 선율을 선사한다. 2019년 금호아트홀 상주음악가로 활동한 피아니스트 박종해(32)가 함께한다. 4월 14일 공연에선 ‘100°C의 뜨거움’을 주제로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와 호흡을 맞춰 헝가리, 스페인, 러시아 등 유럽의 다양한 나라가 가진 뜨거운 열정의 온도를 들려줄 계획이다.
한여름인 8월 25일에는 ‘0°C의 차가움’을 전하는 무대로 이자이, 베리오, 바흐, 힌데미트의 무반주 바이올린 작품을 연주한다. 그는 “모든 프로그램을 솔로로 구성한 건 처음이다. 제게도 큰 도전”이라며 “연주자 입장에서는 살얼음판 같은 상황이라고도 생각돼 ‘0°C의 차가움’을 대입했다. 무반주인 만큼 현악기만의 차가운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말을 장식할 12월 15일 공연은 ‘36.5°C의 포근함’이다. 김동현이 가장 좋아하는 브람스의 작품들로 피아니스트 김다솔, 첼리스트 문태국과 함께 무대에 선다. 그는 “사람의 체온을 나타내는 온도로, 개인적으로 가장 인간적이고 따뜻한 음악가라고 생각하는 브람스의 음악을 선정했다. 따뜻하고 포근한 음악을 들려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