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10일 인천을 찾아 이번 대선의 승부처로 꼽히는 '수도권' 표심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새해 첫날 0시에 대외 교역의 최전선인 인천 신항 컨테이너 하역 현장을 찾은 데 이어 열흘만에 또다시 이 곳을 찾은 것이다.
최근 여론조사 지지율 하락을 만회하기 위해 2030세대를 집중 공략하고 나선 데 이어, 지역적으로는 중도층과 부동층이 많은 수도권 표심을 적극적으로 파고들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후보는 이날 오전 인천 송도의 한 호텔에서 열린 인천 선대위 출범식에 참석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에게 뒤집힌 여론조사 지지율 하락세를 반전시켜 재역전을 이루겠다고 다짐했다.
윤 후보는 "한국전쟁 당시 적의 허를 찔러 일거에 판세를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처럼 이 나라를 구할 역전의 드라마와 대장정이 인천에서 시작하리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의 부족으로 인해 정권교체를 간절히 바라는 당원들과 국민들께서 걱정하시게 된 점을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더 나은 모습으로 여러분의 기대와 바람에 반드시 부응하겠다"고 다짐했다.
인천상륙작전까지 거론하며 역전드라마 연출을 위한 비장함을 드러내는 한편, 당 내홍으로 이탈한 지지표를 다시 모으기 위해 반성과 '낮은 자세'를 보인 것이다.

윤 후보는 이어 인천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 지역 숙원 사업 해결에 초점을 맞춘 '지역 맞춤형 공약' 8가지를 발표했다.
광역급행철도 'GTX-E 노선'을 신설·연장해 서울 도심까지 30분 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 경인선·경인고속도로 인천구간 지하화로 교통 혼잡을 해소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30년간 인천 시민의 고충이었던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를 대체지 조성을 통해 반드시 해결하고, 제2의료원 설립·국립대학병원 유치를 지원하며, 권역별로 특화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공약했다.
인천내항 주변 원도심 재생과 재개발 적극 지원, 수도권 규제 대상 지역에서 강화군과 옹진군 제외, 서북단 접경지역 시민 삶의 질 향상 등의 공약도 제시했다.
앞서 윤 후보는 '국가 수출의 전진기지'라 불리는 인천 남동공단의 한 자동차 부품 생산 중소기업을 찾아 근로자들과 간담회를 했다.
이 자리에서 윤 후보는 주52시간 근무제, 중소기업 구인난 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현장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전 직원이 23명에 불과한 중소기업 '경우정밀'의 박진수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저희 같은 뿌리기술업체들은 주52시간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업종별 차등을 뒀으면 좋겠다"면서 "설비 가동 시간이 매출로 이어지는데 시간을 규제한다는 것은 매출을 규제한다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또, 제조업의 극심한 구인난을 호소하고, 대기업이 협력회사가 망하지 않도록 끌고 가는 제도 도입을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윤 후보는 주52시간제와 관련해 "근로시간 문제는 다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서 근로시간을 유연화하고 충분한 보상을 해주는 방안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에 근무하면 월급이 적고 근무 여건이 좋지 않다고 해서 그 부분을 국가 재정으로 어느 정도 인센티브를 주는 걸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중소기업 가업승계 규제 완화, 원자재 가격 상승 시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납품 단가 조정 등도 언급했다.
윤 후보는 오후에는 서울 용산구 대한노인회를 찾아 노년층 표심을 공략한다.
또 오는 11일 국가 운영 비전 등을 밝히는 신년 기자회견을 준비할 예정이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