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문제로 담판을 앞둔 미국이 강온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미국은 ‘군사 훈련 제한’ 등에 관해 열려있다는 태도를 취하는 한편,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시 인공지능(AI) 등 러시아의 핵심 산업 분야를 제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미·러 양국이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군사 훈련과 미사일 배치를 제한하는 방안을 러시아에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서로 영토에 근접한 전략 폭격기와 훈련의 규모 등에 대해 상호 제한하는 접근법을 모색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국경 병력 철수를 주장하고 있고, 러시아는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동진 포기를 각각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양측의 군사력을 제한해 긴장을 완화하는 방안에 열려있다는 뜻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소식은 양국 고위급 담판을 이틀 앞둔 시점에서 나왔다. 10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과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문제에 관한 실무 협상을 벌인다. 12일에는 러시아와 나토, 13일엔 러시아와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간 협상이 예정돼 있다.
안드레아 켄달 테일러 신미국안보센터 러시아 전문가는 “10일 회담에서 러시아가 나토의 확장에 관해서만 얘기하려 한다면 논의는 교착 상태에 빠질 것”이라며 “다만 러시아가 군비 통제에 관해 얘기하기를 원한다면 논의해야 하고, 외교적 해결책이 있다는 기대감을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으로 미국은 서방 등 동맹들과 다양한 경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아직 구체화한 결정은 없지만, 러시아로 수출되는 미국 상품과 미국 관할에 있는 외국 생산 제품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또 경제 제재는 국방, AI, 양자컴퓨터 등 러시아가 첨단화하려는 분야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