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임제 유지·처우개선 요구
비조합원 운행 방해하다 연행도

화물연대가 25일 사흘간의 총파업에 돌입했다. 일부 유통기지에서 시멘트 운송이 전면 중단되며 물류대란 우려가 커졌지만 전국적으로는 큰 차질 없이 운영됐다.
화물연대는 이날 전국 16개 지역본부별 거점에서 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27일까지 3일간 1차 총파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화물기사 2700여명이 파업에 동참했다. 이번 총파업에 참여하는 서울경기지부 소속 조합원은 전체 지부 조합원의 75%가량이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 서울경기지부 소속 450여명은 이날 오전 10시 경기 의왕시 의왕컨테이너기지 1기지에서 출정식을 열고 총파업에 들어갔다. 박해철 공공운수노조 수석부위원장은 “화물 노동자는 국내 물류 유통을 책임지는 중요한 업무를 하고 있지만, 그동안 노동자의 권리는 제대로 보장받지 못했다”며 “화물기사들의 노동 기본권을 지키고 도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파업에 나선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수도권 시멘트 저장소(사일로·silo)가 몰려 있는 의왕(부곡)·수색 등 일부 유통기지에는 화물연대 차량이 진입로를 막아 시멘트 운송이 전면 중단됐다. 부산항에서도 운송차질이 빚어졌고, 경북 포항에서는 조합원들이 비조합원의 화물차 운행을 방해하다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그러나 화물연대 가입 비중이 전체 사업용 화물차의 5%인 약 2만2000대 수준이라 우려할 만큼의 대란은 없었다.
화물연대가 정부에 요구하는 사항은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 운임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생존권 쟁취를 위한 운임 인상 △산재보험 전면적용 △지입제 폐지 등이다. 이 중 ‘안전 운임제’는 안전 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는 경우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로 2020년 제정 당시 3년 일몰제로 만들어져 2022년이면 사라진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