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입 부모 경제력이 좌우…“최하위 계층 자녀 명문대 진학 실패할 확률 70%”

입력 : 2021-11-25 22:00:00 수정 : 2021-11-25 23:46:56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게티이미지뱅크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대학 진학에 기회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이같은 기회 불평등은 매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하위 계층 자녀 명문대 진학에 실패할 확률이 무려 7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5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발간한 ‘조세 재정 브리프-대학입학 성과에 나타난 교육 기회 불평등과 대입 전형에 대한 연구’에 이같은 내용의 결과가 실렸다.

 

주병기 서울대 교수 등은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대학 진학 성과 자료를 이용해 2000∼2011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12개 집단의 지니 기회 불평등도(GOI)와 개천용 기회 불평등도(RRI)를 분석했다.

 

이후 △부모의 교육 수준과 가구의 소득 수준을 활용해 전체 가구 환경을 저·중·고로 나누고 △출신 지역은 수도권, 광역시, 시·군·구 지역으로 분류했다. 

 

△대학 진학 성과는 2019년 QS 대학 순위와 의약학계 전공 등을 고려해 5단계로 구분하고 1∼5점 점수를 부여했다. 

 

여기서 최상위권으로 분류된 대학은 대학순위 상위 5개 대학과 전국의 의대·치대·한의대·수의대·약대다.

 

그 결과 가구 환경 간 대학입학 성과의 기회 불평등은 매년 뚜렷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교수는 “가구 환경이 좋을수록 대학입학 성과에 우월한 기회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출신 지역 간 불평등은 광역시가 시·군·구보다 우월한 확률 분포를 보였지만 수도권과 시·군·구, 또는 수도권과 광역시 간에는 기회 불평등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조사 기간(2000∼2011년) 전체에 걸쳐 기회 불평등도가 다소 상승하는 추세였다”며 “특히 최상위원 대학 진학을 기준으로 측정한 개천용 기회 불평등도의 경우 그 절대적 크기가 2010년 전후 약 0.7에 이르는 높은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소위 명문대 진학에서의 계층 간 격차가 매우 커서 출신 가구가 최하위 계층일 경우 타고난 잠재력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회 불평등 때문에 명문대 진학에 실패할 확률이 적어도 70%에 이름을 말해준다”고 덧붙였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