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RP4 유전자’ 보유 고위험 환자군의 재발률 약 10%”
“저위험군에 비해 약 4.4배↑…1기 위암도 5% 재발 경험”
“‘림프절 전이’ 1기 위암 환자, 보조항암치료 이득 없어”

1기 위암 환자의 암 재발 위험 유전자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확인했다.
이에 따라 1기 위암 맞춤형 관리․치료의 가능성이 확인됐다.
차 의과학대학교 일산 차병원 상부위장관외과 최윤영 교수팀은 1기 위암 환자에서 암 재발 관련 유전자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최 교수와 함께 세브란스병원 정재호 교수, 삼성서울병원 안지영 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예후가 비교적 좋지 않고 림프절 전이가 있는 1기 위암 환자 864명의 치료 성적과 위암의 분자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864명의 환자 중 41명(4.7%)에게서 위암이 재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위암의 분자적 특징은 2·3기 위암에서 사용되고 있는 위암예후예측분자진단(nProfiler I, 노보믹스) 기술을 활용했고, ‘SFRP4’ 유전자의 발현이 높은 경우 고위험군으로 정의했다.
연구 결과, SFRP4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고위험 환자군의 재발률은 약 10%로 저위험군(2%)에 비해 약 4.4배 높게 나타났다.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1기 위암이더라도 환자의 5% 정도는 재발을 경험한다.
연구팀은 추후 연구결과를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 교수는 “1기 위암도 모두 완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재발 위험에 따른 맞춤형 관리와 치료가 필요한데, 이번 연구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본 연구 결과를 임상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외 과학기술인 용색인(SCI)급 논문인 ‘중국 암 연구 저널(Chi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 11월호에 실렸다.
한편, 이번 연구는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 세도 회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