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인 사회생물학자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진)가 한국의 저출산 현상에 대해 “당연한 현상”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최 석좌교수는 지난 23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에 올린 영상에서 요즘 저출산 현상에 대해 “진화생물학자인 제가 보기에는 아주 지극히 당연한 진화적 적응현상”이라고 언급했다.
최 석좌교수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지금 애를 낳는 사람은 바보다. 머리가 얼마나 나쁘면, IQ가 두 자리가 안 되니 애를 낳는 거겠죠? 애를 낳아서 기른다는 것은 아무리 계산해봐도 결코 현명한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너무 심하게 얘기를 했다”면서 “주변에 먹을 것이 없고 숨을 곳이 없는데 거기서 애를 막 낳아 주체를 못 하는 동물은 진화 과정에서 살아남기 어렵다”고 부연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는 애를 낳아 키워낼 수 있을까. 이 문제를 개인의 입장에서 심각하게 고민하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그런 고민 끝에도 애를 낳는 분들은 제가 보기엔 계산이 안 되는 분들”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힘들 걸 뻔히 알면서도 행복을 위해 과감히 출산하고 기르는 분들은 결과적으로 애국자”라며 “아무리 계산을 해도 결코 현명한 일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최 석좌교수는 또 “과거에는 별다른 인생 계획 없이 무계획으로 결혼하고 부부가 함께 고생했지만 현세대는 결혼비용과 함께 출산, 육아, 교육 등 계산 비용이 너무 많다”고 부연하며 “옛날보다 지나치게 현명해진 세대, 지나치게 똑똑해진 세대의 불행”이라고 일갈했다.
이어 “제대로 된 좋은 환경에서 아이를 키우고 싶다는 젊은 층의 기준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 기준에 못 미치니 아이 낳고 결혼하기를 꺼리는 것”이라고 현 세태를 진단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2337명 감소한 6만6563명을 기록했다. 가임 여성 1명당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도 0.82명을 기록해 2009년 이후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