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성장 엔진중 하나 ‘웰니스’ 강화
CJ제일제당이 건강사업부를 분사해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육성한다.
23일 CJ제일제당은 건강사업 사내독립기업(CIC)을 100% 현물출자 방식으로 분할한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신규 법인명은 ‘CJ 웰케어(Wellcare)’이며 분할 기일은 내년 1월 1일이다.
CJ제일제당은 “식품사업에서 건강사업을 완전히 분리하고 연구개발(R&D), 마케팅, 영업의 전 밸류체인에서 전문성을 높이는 등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CJ 웰케어는 식물성 프리미엄 유산균과 스페셜티 제품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CJ의 4대 성장엔진 중 하나인 ‘웰니스(Wellness)’ 사업을 강화하고, 2025년까지 업계 선두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우선 유산균의 경우 독자 개발한 식물성 균주 기반의 100억CFU(보장균수) 이상 고함량 제품 라인업으로 ‘BYO유산균’ 브랜드를 대형화할 계획이다. 다이어트, 면역력 등 기능을 추가한 차세대 유산균 개발도 주력한다.
신규 기능성 원료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스페셜티 제품의 포트폴리오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건강 R&D센터를 별도로 두고 빅데이터 분석과 연구 리서치 기능 등을 강화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다가올 개인 맞춤형 건기식 시장을 겨냥한 사업도 선제적으로 준비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앞서 2002년 ‘CJ 뉴트라’라는 브랜드로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히비스커스, 히알루론산, 쏘팔메토 등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다이어트(팻다운), 눈건강(아이시안), 피부보습(이너비), 남성 시니어건강(전립소) 등의 제품을 내놨다. 2013년 업계 최초로 국내 개발 유산균 균주(CJLP133)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 받기도 했다.
장승훈 CJ 웰케어 상무는 “지난 20년간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왔다면, 앞으로의 20년은 시장의 혁신과 성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며 “CJ의 건강사업 노하우와 R&D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형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소비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웰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