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의당 “전두환, 사법적 심판 끝나기도 전에 사망… 죽음마저 유죄”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11-23 12:30:00 수정 : 2021-11-23 11:43: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의당 여영국 대표. 연합뉴스

23일 전두환씨 사망소식에 정의당은 전씨가 5·18 민주화운동 강제진압에 대한 사과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죽음마저 유죄”라고 지적했다.  

 

심상정 대선 후보는 별도 입장문을 통해 “무엇보다, 이 시간 원통해하고 계실 5.18 유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라고 했다. 이어 “전씨가 끝내 진실을 밝히지 않고, 광주 학살에 대한 사과도 없이 떠났다. 역사의 깊은 상처는 오로지 광주시민과 국민의 몫이 됐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불거진 ‘국가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역사를 인식한다면 국가장 얘기는 감히 입에 올리지 않길 바란다”라며 “성찰 없는 죽음은 그조차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오월의 빛을 되찾는 일은 중단 없이 지속해야 한다”며 “그늘에 가려진 진실들을 발굴하고, 책임자들에게 단호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정의당 여영국 대표는 “헌정 질서를 유린한 군사쿠데타 범죄자 전두환씨가 역사적 심판과 사법적 심판이 끝나기도 전에 사망했다. 그런 의미에서 죽음조차 유죄다”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여 대표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고 조비오 신부의 명예를 훼손한 범죄혐의로 기소된 그가 29일 결심공판을 앞두고 사망한 것은 끝까지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고, 사법 정의를 농단해온 그의 추악한 범죄가 80년 5월로 끝나지 않은 현재 진행형 범죄임을 말해준다”고 썼다.

 

또 여 대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전씨 미화 논란을 일으킨 것을 겨냥, “전두환 군부독재 정권을 찬양하는 윤석열 후보와 같은 수구세력이 그를 단죄한 사법 심판과 역사적 평가를 조롱하면서 역사와 사법 정의를 지체시켜왔다”며 “학살의 범죄에 묵인하고 동조해온 공범들이다.  앞서 윤 후보는 지난달 19일 “군사쿠데타와 5·18만 빼면, 잘못한 부분이 그런 부분이 있지만, 그야말로 정치를 잘했다고 말하는 분들이 많다”고 주장했다 사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김현우 기자 wit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린 '상큼 발랄'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